“이미 다 밝혀”…한동훈, 특검의 증인신문 청구에 사실상 출석 거부 시사
정치권의 내란특검 증인 출석을 둘러싼 갈등이 재점화됐다.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가 12·3 비상계엄 해제 의결 방해 의혹 관련 특별검사팀의 법원 증인신문 청구에 사실상 거부 의사를 내비치면서 특검 측과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동훈 전 대표는 9월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12·3 비상계엄 당시 당 대표로서 누구보다 먼저 여러 의원, 당협위원장, 당직자들과 함께 위법한 계엄 저지에 앞장섰다. 그 자세한 경위는 지난 2월 발간한 책, 언론 인터뷰 등으로 전부를 이미 밝혔다”며 “그 이상의 내용에 대해 말할 것이 없다”고 밝혔다. 이는 내란특검팀의 증인 신문 요청에 더 이상 새로운 진술은 없다는 입장을 강조한 것이다.

내란 특별검사팀은 같은 날, 한동훈 전 대표의 증언이 사건 실체 규명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검팀은 “참고인 신분인 한동훈 전 대표의 진술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형사소송법에 근거, 서울중앙지법에 공판 전 증인신문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한동훈 전 대표의 입장이 확인되자 정치권 각 진영의 반응도 엇갈렸다. 국민의힘 측은 “이미 공적인 자리에서 입장을 충분히 설명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한 전 대표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분위기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들은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해 책임 있는 대답이 필요하다”며 특검 측의 증인신문 필요성에 무게를 싣는 모습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한동훈 전 대표의 증인신문 거부 시사가 향후 내란특검 수사 및 재판 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법원의 판단에 따라 특검과 전 대표 간의 추가 신문 가능성, 혹은 소환 불발 사태가 현실화될지 관심이 모인다.
이날 국회는 내란특검팀의 증인신문 청구와 한동훈 전 대표의 거부 시사 발언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이후에도 특검팀과 여야는 추가 대응 방안 등을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