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남북 최고위급 접촉 성사될까”…우원식-김정은, 베이징 전승절에서 만남 주목
정치

“남북 최고위급 접촉 성사될까”…우원식-김정은, 베이징 전승절에서 만남 주목

최유진 기자
입력

남북 최고위급 인사들이 중국 베이징에서 맞붙을지 주목받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9월 3일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전 80주년 열병식(전승절)에 각각 한국과 북한 대표로 참석할 예정이어서, 최근까지 차단의 벽을 두텁게 유지하던 남북관계에 소폭 변화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조선중앙통신은 28일 김정은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전승절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한다고 전했다. 한국 대표로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공식 참석한다. 이보다 앞서 중국은 이재명 대통령의 참석을 우회적으로 타진했으나, 한국은 한미 동맹 등 외교 지형을 감안해 의전 2위인 국회의장 참석 쪽으로 급을 조정했다.

이 행사에서 남북이 최고위급 인사와 접촉하게 된다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공식 교류가 된다. 이재명 정부가 남북 및 북미 대화 재개에 지속적인 의지를 표명해 온 만큼, 이번 접점이 새로운 돌파구로 작용할지 관심이 쏠린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양측이 직접 마주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최근 북한이 남한을 ‘적대적 국가’로 공식 규정하고 대화 채널을 전면 차단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행사장 내에서 우 의장과 가까이 앉지 않도록 동선, 자리 배치를 중국 측에 요구할 것이란 예측이 제기됐다. 오경섭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국 입장에선 김정은 위원장이 우 의장보다 훨씬 중요한 손님이라고 인식해 북측 요청을 반영할 것”이라며 두 인물이 가까운 자리에 함께 서긴 어렵다고 내다봤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 역시 “동선을 철저히 분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직전 사례인 2015년 전승절 70주년 행사에서는 박근혜 당시 대통령과 최룡해 북한 노동당 비서가 나란히 참석했음에도 끝내 별도의 조우는 성사되지 않았다. 국가수반급은 통상 행사장의 첫 줄에, 국회의장은 한 단계 떨어진 자리에 배치돼 국제 의전 관례도 양측 간 접촉을 제한하는 추가 변수로 꼽힌다.

 

국회의장실은 김정은 위원장의 전격 참석과 북한-러시아 관계 강화 등 상황 전개에 맞춰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한 관계자는 “북한 측 인사 불참 가능성부터 김정은 위원장 참석까지 여러 시나리오를 열어두고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며 “회동 논의 여부는 아직 논의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날 정치권은 우원식 국회의장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베이징 전승절 행사동선이 겹칠지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남북 최고위급 인사 조우 가능성이 실현될지 주목되는 가운데, 정부는 행사 이후 남북 대화 창구 복원을 위한 기회를 모색할 태세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우원식#김정은#전승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