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 현대차 공장 불법이민 단속 논란”…브라이언 켐프 주지사, 정당성 강조 속 한인 체포 파장
불법이민 단속을 둘러싼 충돌이 미국 조지아주에서 격화되고 있다. 현지 시각 4일,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 위치한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 미 연방단속반이 대규모 급습을 감행했다. 현장 근로자들은 “전쟁터에서 작전하듯 급습했다”며 체포를 피하려 환기구 등에 숨었다고 증언했다. 이번 작전으로 한국 국적 근로자 300여 명을 포함해 총 475명이 체포되면서, 한국 사회와 이민자 커뮤니티에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CNN 등 미국 주요 언론이 5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단속에 투입된 연방과 주 소속 요원은 약 500명에 달했다. 근로자들은 사회보장번호, 생년월일 등 개인 신분 정보를 요구받았고, 신원 확인 후에야 잠정 허가증을 받아 현장을 벗어날 수 있었다. 현장 노동자의 증언에 따르면 “이민단속 요원이 ‘전쟁터’처럼 들이닥쳤고, 일부는 체포를 피하려 환기구로 몸을 숨겼다”고 전해졌다.

이번 단속을 두고 주정부와 연방당국은 “정당한 법 집행”임을 강조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지사(공화당)는 성명을 내어 “이민세관단속국(ICE)과 주 공공안전부가 긴밀히 협조해 모든 법률을 이행했다”며 “주와 연방의 이민법을 집행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민단체와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강경 단속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아시안아메리칸 정의증진 애틀랜타 등 단체는 “노동자들은 지역사회와 가족을 부양하는 평범한 시민”이라며, 표적 단속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했다. 슈퍼마켓을 운영하는 인근 주민은 “한국인 노동자들은 자랑스럽다”며 염려를 나타냈고, 또 다른 주민은 “일자리는 지역사회로 돌아가야 한다”며 단속에 찬성 입장도 보였다. 일자리 배분, 이민정책, 지역경제에 대한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 마약단속국(DEA), 조지아주 순찰대가 참여한 이번 단속은, 최근 미 정부의 불법체류자 단속 기조 강화와 맞물려 있다. 체포된 직원들은 대부분 미국 내 불법 입국 혹은 체류자격 위반 상태에서 근무 중이었던 것으로 미 당국은 설명했다. 한국 정부 자료에 따르면, 475명 전체 중 한국인만 300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대규모 이민단속으로 인한 정치적 파장은 미국 현지 한인사회와 양국 정부 모두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향후 미국 내 이민단속 강화 추세가 이어질 경우, 국내외 기업과 한인 노동자의 법적·사회적 환경 변화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정부는 향후 유관기관과 협력해 체포된 한국인 보호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며, 공장 인근 지역사회 역시 단속 후폭풍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