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에 ‘피스메이커’ 강조”…이재명-트럼프 정상회담, 한반도 평화 외교 해법 주목
현지 시각 8월 25일, 미국(USA)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피스 메이커(Peace Maker)’라고 부르며 한반도 평화 해법에 대한 공동 의지를 확인했다. 이 회담은 최근 정체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개 등 동북아 안보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외교적 움직임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세계 지도자 중에 트럼프 대통령처럼 평화 문제에 관심을 갖고 실제 성과를 낸 이는 처음”이라고 밝히며, 트럼프 대통령을 세계 평화의 ‘피스 메이커’로 직접 치켜세웠다. 이어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 트럼프 대통령이 평화를 만드는 피스메이커가 되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뛰겠다”고 덧붙여,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 국무위원장을 상대로 한미 공동 설득 전략을 제안했다. 또 이 대통령은 대북 경제 협력 방안으로 북한 골프장 건설 등 미국 기업의 진출까지 언급해, 실질적 경제 유인책도 제시했다.

이번 회담에 대해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대통령의 피스메이커 언급은 신의 한수”라고 평가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듣고 싶어 하는 ‘세계 평화’의 수식어를 적극 활용한 점을 ‘외교의 묘수’로 꼽았다. 박 의원은 “트럼프의 꿈인 노벨평화상까지 그려진다”며 회담 결과를 대성공으로 치켜세웠다.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해 “최후까지 최선을 다해줄 것을 믿고 응원한다. 그래야 진짜 대한민국이 탄생한다”고 독려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 대화가 교착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열린 첫 한미 정상급 직접 대화로, 한미 동맹의 신뢰와 공조를 재확인하는 계기로 해석된다. 한국 외교부는 “양국 정상의 평화 메시지가 앞으로 한반도 정세에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의 자부심을 자극하며 실질 협력을 요청한 클로즈업 순간이었다”고 분석했고, 워싱턴포스트(WP)는 “양국 모두 교착 국면인 북핵 문제 해결의 새 로드맵을 모색한 점에 주목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발언이 한미 양 정상의 협상 동력을 끌어올리고, 트럼프가 북미 정상 간 회담 재개 의지를 재확인하도록 이끌었다고 평가한다. 다만 “북한의 실제 호응, 미국 대선 등 복합 변수가 남아 있다”며 신중한 관전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나온다. 국제사회는 한미 정상회담 이후 대북 메시지와 실질적 정책 변화에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