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2% 급등·엔비디아 5% 상승”…미국 셧다운 해제 기대, 뉴욕증시 위험선호 회복
현지시각 10일, 미국(USA) 뉴욕증시는 상원의 셧다운 해제 절차 진전에 따른 정부 정상화 기대가 커지면서 위험자산 선호가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S&P 500은 1.54%, 나스닥종합은 2.27% 급등해 전주의 약세를 상당 부분 만회했다. 이번 증시 반등은 최근 이어진 정치 불확실성 요인이 완화되며, 투자심리를 되살리는 계기로 평가되고 있다.
월요일 장에서는 대형 기술주와 AI·반도체가 시장을 주도했다. 엔비디아는 5.79% 상승해 시가총액 5조달러 재진입을 목전에 두었고, 알파벳과 브로드컴,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빅테크 역시 2~4%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3% 급등해 위험선호 회복의 상징이 됐다. 국제 금·원유 등 원자재 가격도 동반 강세를 보였고,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11%로 소폭 상승했다.
![[표] 뉴욕증시 주요 지수](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1111/1762812903380_927543292.jpg)
이번 랠리의 배경에는 ‘정책·정치 불확실성 축소’라는 테마가 중심에 있다. 정부 셧다운이 해제 국면에 접어들면서 경기 연속성 훼손 우려가 완화됐고, 연방 통계기관 등 주요 기관 정상화 조짐이 투자자들에게 긍정적 신호로 해석됐다. 실제로 이날 나스닥100은 2.2% 오르고, 변동성 지수(VIX)는 7.76% 하락하는 등 위험회피 심리가 진정됐다.
경제지표 발표와 정책 경로에도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는 점은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됐다. 통계 품질 저하 및 보정 가능성, 국채·환율·원자재 흐름 등에 따라 섹터별 수익률 분산 확대 우려가 상존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학개미 보관금액 등 수급 흐름 역시 테슬라·엔비디아 등 성장주의 랠리와 온도차를 보이며, 가격과 자금 유입 사이 비동조화가 포착됐다.
외신 일각에서는 “셧다운 해제 기대가 단기 랠리의 촉매”라고 진단하면서도, 잔존 정책 불확실성과 향후 경제 데이터 발표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재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요 언론은 AI·빅테크 중심의 성장주 프리미엄이 다시 부각됐으나, 여전히 펀더멘털 검증 국면이 다가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반등은 미 연방정부의 정상화 시그널과 위험 프리미엄의 일시적 해소가 맞물린 결과”라면서, 향후 경제지표 재개 및 연준의 정책 신호에 따라 주가 흐름이 좌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투자판단의 군집심리와 데이터 해석의 편차가 단기 진폭 확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신중론을 제시했다.
이번 미국(USA) 증시 랠리가 불확실성 해소를 동력으로 일시적 반등 국면에 접어들었으나, 향후 정책 경로와 경기 지표가 투자심리에 어떤 추가 변화를 가져올지 국제사회가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