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코스피 전망 4,500~7,500선”…증권사마다 상단 이견, 투자자 혼선 커져
내년 코스피 지수에 대한 증권사별 상단 전망치가 4,500포인트부터 7,500포인트까지 크게 엇갈리며, 투자자들의 판단 부담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예측이 증시 흐름이나 대외 변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증권사 리서치센터의 객관적 분석 역할이 중요해졌다고 평가한다.
11일 주요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KB증권은 내년 코스피 최고치를 7,500포인트로 제시해 역대 국내 증권사 전망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KB증권은 “지금의 상황은 1984년 ‘3저 호황(저달러·저유가·저금리)’ 구간과 유사하다”며 “40년 만의 장기 상승장이 재현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고, 반도체 업종의 실적 개선과 내년 영업이익 신기록, 글로벌 대비 밸류에이션(주가순자산비율 1.4배) 매력을 근거로 들었다.

반면, 키움증권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인플레이션 우려 등 하방 위험이 크다”며 상단을 4,500포인트로 제시했다. 키움증권 리서치센터는 “반도체 업종은 긍정적이지만, 전통 제조업 부진에 따른 업종별 양극화와 상품 가격 급등, 공급차질, 무역 마찰 등 외부 변수도 감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과 유안타증권은 4,600포인트, 신한투자증권은 5,000포인트까지 각각 상단을 전망했다. 신한투자증권은 “2026년 국내 재정 부양 효과가 증시엔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무역 갈등, 미국 정치 이벤트 등 외생적 변수로 인해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시장에서는 이처럼 증권사별 전망이 극심하게 엇갈리면서 투자자들의 혼선이 커졌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50대 직장인 이모 씨는 “증권사마다 리포트 방향성이 다 달라서 판단이 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매년 연말 발표되는 증권사 증시 전망치 적중률이 실제로 높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전년도 KB증권, IBK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주요 증권사들은 2024년 코스피 상단을 2,800~3,000포인트로 예상했으나, 올해는 반도체 호황으로 실제로 4,000선을 넘어서며 예상을 뛰어넘는 흐름을 보였다.
정의정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는 “신용잔고가 사상 최고치를 찍고 있는 상황에서 증권사 전망에만 의존한 투자는 위험하다”며 신중한 접근을 당부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도 “일부 증권사가 신규 고객 유치에만 치중해 예측에 큰 괴리가 발생한다”며 “리서치센터는 객관적 데이터와 기업 펀더멘털 분석에 기반한 보고서를 내놓고, 이를 지원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향후 국내 증시 흐름은 반도체 업황, 글로벌 통화정책, 지정학 리스크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시장에서는 주요 증권사 2025년 코스피 전망을 참고하되, 투자자는 관련 산업 동향과 대외 변수도 함께 살필 필요가 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