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2분기 GDP 3.3% 상승”…미국, 성장률 반등에 소비 회복 신호
국제

“2분기 GDP 3.3% 상승”…미국, 성장률 반등에 소비 회복 신호

박지수 기자
입력

현지시각 28일, 미국(USA) 상무부는 워싱턴 D.C.에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잠정치를 발표했다. 계절조정 연율 기준 성장률은 3.3%로, 전문가 전망치(3.1%)와 속보치(3.0%)를 모두 상회하는 결과다. 이번 발표는 최근 관세 정책 변화와 민간 소비 흐름 속에서 미국 경제가 반등 신호를 보인다는 점에서 국제사회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2분기 GDP 상승에는 수입 감소와 미국 내 개인소비 확대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1분기(-0.5%)에 비해 성장폭이 크게 확대된 데에는 관세 불확실성 해소와 내수 수요 회복이 맞물린 것으로 해석된다. 기업들은 올해 초 관세 변동 우려로 재고 확충을 위해 수입을 늘렸다가, 2분기 들어 이에 따른 재고 소진과 수입 감소로 성장 기여도가 높아졌다. 투자 부분은 다소 둔화했으나, 민간지출(국내 민간 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이 1.9% 증가하면서 속보치(1.2%)를 크게 웃돌아 미국 내 내수 체력 강화가 확인됐다.

미국 2분기 GDP 3.3% 증가…전문가 예상·속보치 모두 상회
미국 2분기 GDP 3.3% 증가…전문가 예상·속보치 모두 상회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 복원에는 소비자 심리 회복이 뒷받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분기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2.0% 오르며 물가 부담이 일부 완화됐고, 에너지·식품 등 변동이 큰 품목을 제외한 근원 PCE 물가 상승률도 2.5%를 기록해 연준(Fed)의 물가 안정 기대감과 맞물리고 있다.

 

이 같은 성장률 경신에 대해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미국 기업과 소비자가 무역정책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미국 경제가 완만하나 안정적 성장을 시현 중”이라고 진단했다.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결정의 핵심지표로 삼고 있는 7월 PCE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시장은 경제지표와 정책 변동성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미국의 성장세 회복은 글로벌 공급망과 투자 흐름에도 파급효과를 낳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관세 정책과 소비 흐름 변동이 향후 미국 경제는 물론 세계 경제·증시 전반에 영향을 확대할 것”이라며 신중한 점검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제사회는 미국의 경기 반등이 지속할지 여부와 주요 물가 지표 추이를 주의 깊게 살피고 있다.

박지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미국gdp#개인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