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탄 재사용 발사체, 선진국이 간다”…우주청, 기술혁신 속도전 선언
메탄 연료 기반 재사용 발사체가 우주산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일회성 발사체는 이미 뒤쳐진 개념"이라고 밝히며 “기술과 산업 생태계 혁신을 위해 재사용 발사체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메탄 재사용 발사체는 발사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 친환경성 등에서 케로신(석유계) 기반 일회성 발사체 대비 경쟁 우위를 확보할 기술로 꼽힌다. 실제로 미국을 비롯해 중국, 유럽, 러시아, 일본, 인도 등 우주 선도 6개국 모두가 재사용 발사체와 메탄 연료 중심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메탄 연료는 연소 잔류물이 적어 엔진 반복 사용에 유리하고, 액체 수소 대비 저장과 운용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점에서 주목받아 왔다.
재사용 발사체 기술은 극저온 연료 취급, 엔진 열피로 관리, 구조 내구성 등에서 높은 기술 장벽을 가진 분야다. 우주항공청은 “누리호 개발을 통해 75톤급 엔진 등 핵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역량을 축적한 만큼, ‘케로신→메탄화’ 전환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선진국 발사체 산업계가 메탄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하며 기술 격차를 벌리고 있지만, 한국도 2035년 기술 개발 목표를 근거로 추격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미국의 스페이스X ‘팰컨9’과 ‘스타쉽’ 등은 이미 재사용 발사체 시장을 주도 중이며, 유럽·중국 또한 시험 발사와 기술 검증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로사항 역시 지적된다. 국내 발사체 생태계는 아직 케로신 기반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연료 전환에 따른 중소 부품기업 전환 지원, 인력 재교육 등 체계적 지원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아울러 한국은 미국 ITAR 등 해외 기술 이전 규제에 직면한 만큼 핵심 부품 국산화 및 독자적 검증 기술 확보가 관건으로 평가된다. 현행 규제와 인증 체계 역시 재사용 발사체 도입에 맞게 조정돼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정부는 산업진흥법 및 R&D 지원책 개편 등 기반 조성을 병행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10년 내 메탄 기반 재사용 발사체 상용화가 국가 우주 주권의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진단한다. 산업계는 우주항공청의 도전이 실제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 이어질 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