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구금 한국인, 전세기 통해 송환”…위성락, 60여명 체포영장 집행 시사
캄보디아 당국에 구금된 60여명의 한국인 송환을 둘러싸고 정부와 수사기관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직접 송환 절차와 법적 문제를 설명하며 긴박한 조율 상황을 전했다.
위성락 실장은 “캄보디아 현지 정부 대응팀과 통화한 결과, 구금된 한국인 전원이 벙운 정부 전세기를 타고 한국시간 18일 새벽 2시 경 프놈펜에서 인천으로 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변수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현재까지 협의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혀 일말의 불확실성이 남아있음을 드러냈다.

송환 대상인 한국인은 전날까지 59명으로 알려졌으나 일부가 추가돼 60여명 규모로 늘었다. 위성락 실장은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당국에서 체포영장이 발부된 이들이 다수이고, 이에 맞는 법적 절차를 갖춰 경찰의 호송 하에 송환될 예정”이라고 구체적 절차를 언급했다.
경찰 역시 상황을 예의 주시하며 송환 임무에 만전을 기울이고 있다는 전언이다. 위성락 실장은 “이날 저녁 인천에서 출발하는 전세기에는 충분한 경찰 인력이 탑승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피의자 관리와 항공기 내외 질서 유지 등 양국간 협의가 실시간으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정치권에서는 국내외 범죄 연루자에 대한 강경한 대처 방침과 함께, 절차적 투명성 및 인권 보호 문제도 함께 주목하고 있다. 시민사회 역시 송환 과정에서 불필요한 마찰이 없도록 신중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여론을 내놓고 있다.
당초 정부가 신속 송환에 총력을 기울이는 만큼, 귀국 이후 신병 처리와 추가 수사 과정에도 관심이 쏠린다. 법적 관할권, 해외 공조 활동의 효율성, 피의자 신병관리 체계 등이 후속 논의로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구금된 한국인 전원의 안전한 귀국과 법적 절차 준수를 위해 향후 추가 대응책도 모색할 방침이다. 경찰과 외교부는 캄보디아 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하며 남은 변수 관리에 집중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