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망상증에 걸린 위선자”…북한, 이재명 대통령 방미 비핵화 발언 정면 비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둘러싼 남북 간 대립이 다시 심화되고 있다. 27일 조선중앙통신은 이재명 대통령의 미국 방문 기간 중 비핵화에 대한 입장 표명에 대해 “너무도 허망한 망상”이라며 강도 높게 비난했다. 북한은 ‘비핵화망상증에 걸린 위선자의 정체가 드러났다’는 논평을 통해 핵정책을 절대 포기하지 않겠다는 점을 재차 천명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위이고 국체인 핵을 영원히 내려놓지 않으려는 우리의 립장은 절대불변”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가의 모든 주권을 미국에 고스란히 섬겨바친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정치적 가난뱅이 한국이 우리 핵문제의 성격도 모르면서 비핵화에 아직도 헛된 기대를 점쳐보는 것은 너무도 허망한 망상”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리재명이 비핵화망상증을 유전병으로 계속 달고있다가는 한국뿐 아니라 그 누구에게도 리롭지 못하다는것을 알아야 한다”며 비난 수위를 끌어올렸다.

북한은 핵보유국 지위가 “외부로부터의 적대적 위협과 세계안보력학구도의 변천을 정확히 반영한 필연적 선택”이라며, 한반도 및 세계 정세 변화 없이는 핵정책 변화도 없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우리의 핵정책이 바뀌자면 세상이 변해야 하고 조선반도의 정치군사적환경이 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연설에서 “한반도에서 핵확산금지조약(NPT)상 의무는 철저히 준수돼야 한다. 한국도 이 체제를 철저히 준수하고 비핵화 공약을 지킬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특히 “그것이 남북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점도 분명하다”며 한국뿐만 아니라 북한 역시 국제사회의 비핵화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됐다.
정치권에서는 북한의 강경 논평이 남북 간 긴장 고조의 신호탄이라는 평가가 이어졌다. 여야는 한미동맹 강화와 비핵화 원칙을 지키겠다는 점에서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북한의 반발과 군사적 도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미국 대선 정국과 맞물려 국면 전환을 도모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실질적인 대화 복원을 위한 외교적 해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비핵화 관련 협상 여지 자체를 강하게 부인하면서, 향후 남북 관계와 국제사회의 비핵화 압박에도 긴장감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정부는 북한의 태도를 면밀히 주시하며 대응 방침을 모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