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행정 혁신”…서울AI재단-숙명여대, 인재양성 본격화
인공지능(AI)이 공공행정 영역의 혁신과 인재양성 전략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서울AI재단과 숙명여자대학교가 28일 ‘AI 혁신 및 인재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서울형 인공지능 생태계 구축과 현장 실무형 인재 배출에 속도가 붙고 있다. 업계는 이번 협력 모델을 ‘공공-교육 연계형 AI 혁신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서울AI재단과 숙명여자대학교는 양 기관이 보유한 정책 기획 역량과 교육·연구 플랫폼을 결합해 혁신적인 AI 행정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 협력은 AI 기반 융합 사업 공동 추진, 공공 서비스 확산을 위한 학생 참여 사업, 차세대 인재 교육, 그리고 AI 창업 생태계 조성 등 4대 분야로 구체화됐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실제 행정 현장에서 요구되는 ‘AI 역량’을 갖춘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데 있다. 숙명여대의 데이터 사이언스·AI 커리큘럼, 서울AI재단의 정책 실무 경험이 융합돼, 청년 인재들이 공공행정은 물론 의료·산업·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반 혁신을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특히 국내에서 AI 행정 혁신과 인재양성이라는 목표를 동시에 구현하는 MOU 체결은 드문 사례로, 다른 지방정부 및 대학과의 AI 협력 확대 움직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해외 주요 도시에서는 이미 대학-지자체 간 AI 교육·서비스 협업이 활발한 가운데, 서울의 모델이 글로벌 표준에 근접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현재 국내 공공 AI 서비스는 개인정보보호법, 데이터 활용 규제 등 진입장벽이 높다. 이에 따라 현장 적용성과 윤리성, 서비스 실효성을 동시에 검증할 수 있는 ‘산학협력형’ 인재 양성 및 기술 검증 체계 마련이 필수 과제로 꼽힌다.
김만기 서울AI재단 이사장은 “행정·교육·창업 전 영역에서 숙명여대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AI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협력이 서울의 글로벌 AI 리더십 강화와 더불어 전국적 AI 거버넌스 경쟁에도 적잖은 파급 효과를 가져올지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