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0억 원 규모 국방로봇 양산”…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자국 기술로 군 인명피해 줄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최초로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양산에 착수하며, 국산 국방 로봇의 실제 전력화가 시작됐다. 8일 방위사업청과 2,7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혀, 군 인명 피해 저감과 병력 부족 보완 등 국방 로봇의 경제적, 사회적 파급력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번에 양산되는 폭발물 탐지제거로봇은 지뢰 및 급조폭발물(IED) 탐지·제거 임무를 원격으로 수행하는 무인화 장비다. 계약 기간과 납품 물량은 보안상 비공개이나, 올해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해 향후 국군 주요 부대에 도입될 예정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해당 로봇이 과거 외국산에 의존하던 수준을 넘어, 자국 기술로 개발·양산되는 최초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로봇은 작전 환경에 최적화된 장비 교체가 가능하며, 360도 회전하는 집게 조작팔, 감시장비, 엑스레이 투시기, 지뢰탐지기, 무반동 물포총, 산탄총, 케이블 절단기, 유리창 파쇄기 등 다양한 군수 목적 장비가 기본 탑재된다. 업계는 미래전에 대비한 군 첨단화 및 병력 운용 효율성 제고에 이 로봇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국방 R&D가 본격화된 2017년 이후 2023년 체계 개발 완료까지 약 6년간의 경험이 실제 양산·도입으로 이어졌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군사·방산 산업의 산업파급 효과와 더불어, 인명 피해 감소와 병력 효율화, 연관 로봇 산업 성장 등 긍정적 성과가 기대된다는 의견도 있다.
정부는 국산 국방 로봇 체계 확대와 병행해, 관련 기술 표준화 및 운용 절차 마련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도 이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실적을 계기로 추가 연구개발 지원 강화 및 수출시장 확대 전략을 구체화할 계획을 내놨다.
과거에는 군장병이 직접 지뢰탐지기를 들고 수색하거나, 한정된 외국산 로봇을 투입하는 데 그쳤으나, 이번 양산으로 로봇 배치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2017년 국방 로봇 개발 결정 이후 이번 사업은 국산화 대표 사례가 될 전망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10년 이상 축적한 무인화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성과를 이뤄냈다"며 "국내에서의 성공을 계기로 해외 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향후 군의 추가 도입 및 관련 수출 여부는 국방 투자 확대, 무인화·자동화 정책 기조와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