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주식발행 1,127% 급증”…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IPO 확대 영향
지난 7월 국내 기업들의 주식발행이 4조8,135억 원을 기록하며 전월 대비 1,127% 급증했다. 사상 최대 규모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를 비롯해 대한조선 등 대형 기업공개(IPO) 영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나면서, 자본시장 내 기업 직접금융 조달방식에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추가 대형 증자와 IPO 일정이 예정된 가운데 금융시장 내 기업 자금 흐름이 예년과 다르게 전개될 수도 있다고 분석한다.
금융감독원이 26일 발표한 ‘7월 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 자료에 따르면, 7월 주식발행 금액은 4조8,135억 원으로 6월(3,923억 원)과 비교해 1,127% 늘었다. 특히 유상증자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2조9,188억 원을 단독으로 조달하는 등 전체 유상증자 규모는 3조9,070억 원으로 한 달 새 1,412.9% 급증했다. IPO 분야 역시 대한조선 등 대형딜 이슈로 6,299억 원을 기록, 전달(1,157억 원) 대비 444.2%(5,142억 원) 뛰었다.

반면, 회사채 발행은 23조4,349억 원으로 지난달(23조5,618억 원)보다 1천269억 원 줄었으며, 이 중 일반회사채는 2조9,780억 원으로 13.1% 감소했다. 금융채(19조3,619억 원)는 오히려 11.5% 증가하는 대조적 흐름을 보였다.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은 1조950억 원으로 전월 대비 60.4% 급감하는 등 일부 직접 조달 수단에서 조정 국면이 나타났다.
단기성 조달은 확대됐다. 7월 기업어음(CP)은 46조4,985억 원으로 18.9% 늘었고, 단기사채 발행도 92조3,669억 원으로 10.3%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유상증자와 IPO가 기업 자금 수요를 견인한 반면, 구체적인 시장 수급과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조달 방식별 변동성이 커진 것으로 해석했다.
금융감독원은 “주식발행이 대형 유상증자와 기업공개 등으로 크게 늘었지만, 일반회사채·ABS 등 일부 직접금융 조달은 축소됐다”며 “기업들이 조달 수단을 다변화하며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8월에도 추가 유상증자와 자금조달 일정이 예정돼 있어, 기업의 직접금융 시장 변동성과 투자자 주의가 필요하다는 관측이 지속되고 있다. 향후 자금조달 환경은 금리, 경기, 시장 심리 등 영향에 따라 유연하게 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