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 미생물의 힘”…한국연구재단, 아토피 피부염 근본원인 밝혀내
산모의 장내 미생물이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발병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29일, 고려대학교 김희남 교수팀이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메커니즘을 실험동물을 통해 규명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이 질환의 발병 원인을 주로 피부조직 중심으로 해석해왔지만, 이번 성과는 피부질환이 장내 미생물군(마이크로바이옴) 교란과 전신 염증질환 간 연결고리임을 역설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미생물 군집 및 그 유전정보 전체를 뜻한다. 특히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소화, 면역조절, 질병 예방에 관여하는데, 불균형이 생기면 대사증후군·비만·노화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의 위험성이 커진다.
김희남 교수팀은 소아 아토피 환자의 장내 우점균 중 피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 일부 종이 비정상적으로 많음을 확인한 바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이 병원성 공생균이 실험쥐에 전신 염증 및 피부 병변을 유발한다는 점, 산모의 식이섬유 섭취가 부족할수록 염증 반응과 피부질환 발현이 더욱 커진다는 점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피부 위주의 접근법의 한계를 극복했다. 병원성 공생균에 의한 모체 장내 미생물 불균형, 그리고 식이섬유 결핍 식습관이 자녀의 초기 질환 발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혀냈다.
해외 선진국에서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과 피부질환과의 연관성 연구가 활발하지만, 실제 병원성 미생물의 직접적 병리기전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사례는 드물다. 이 연구는 국내는 물론, 글로벌 아토피 예방·치료 패러다임 전환의 근거로도 주목된다.
아토피 등 만성면역질환 관련 분야에서 식이·모체 건강 관리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향후 의료정책·예방전략 설계 때 핵심 요소로 다뤄질 전망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가 기존 질환 진단·예방시스템에 정밀의료적 접근을 접목할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김희남 교수는 “병원성 공생균의 역할과 식이섬유 섭취 여부를 인간 코호트에서도 정량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정밀진단은 물론 효과적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의 토대를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성과가 실제 임상·진단기술로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