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국정 긍정률 59%”…외교·경제 성과 평가, 부정평가 5%p 하락
정치적 지지와 불신이 교차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평가를 둘러싼 여론이 요동치고 있다.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긍정 평가는 59%로 집계됐으며, 부정 평가는 30%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이 2025년 8월 26일부터 28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11%는 의견을 유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전주 대비 긍정 평가는 3%포인트 상승했고, 부정 평가는 5%포인트 하락했다. 긍정 평가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성향 진보층, 40·50대에서 두드러지게 높았다는 분석이다. 보수층이나 국민의힘 지지층 또한 부정 평가 비율이 다소 줄어들며, 지지층이 집결된 가운데 반대 진영의 반감은 일부 완화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중도층과 무당층에서는 긍·부정평가 모두 큰 변동 없이 정체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 평가의 주요 이유로는 ‘외교’(21%)가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경제/민생’(12%), ‘전반적으로 잘한다’(1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부정 평가에서는 ‘외교’(12%)가 1순위로 꼽혔고, ‘과도한 복지/민생지원금’ 및 ‘노동 정책’(각 9%), ‘독재/독단’, ‘경제/민생’(각 7%) 등이 주요 이유로 지적됐다. 특히 과거 ‘특별사면’ 논란에서 ‘외교’ 항목이 부정평가 사유로 부상한 점은, 최근 이재명 대통령의 일본과 미국 순방, 여당 주도의 노동 및 기업 법안 처리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제기된다.
정치권에서는 여론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여당은 외교 및 경제분야 성과에 주목하며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드라이브에 힘을 실으려는 방침이다. 반면, 보수 진영과 국민의힘 인사들은 "외교 및 복지 정책 추진 과정에서 여전한 불신이 남아있다"며 경계심을 드러냈다. 시민 여론 역시 “외교 성과는 체감이 어렵다”거나 “민생 정책이 진보와 보수 모두에게 신뢰를 얻기까지 과제가 남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는 2025년 하반기 정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긍정평가가 반등하며 대통령 리더십에 힘이 실렸지만, 외교와 복지, 노동 이슈에 대한 상반된 평가가 이어지는 만큼 여야 및 지지층 간의 기싸움은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이렇게 각 진영의 평가가 갈리는 가운데, 향후 국회는 복지·노동정책, 외교 전략 등 현안에 대해 더욱 치열한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민심의 흐름을 반영해 국정 기조를 점검하고, 추가 정책 보완을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