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 300조 미래 육성해야”…최휘영 장관, 문화산업 투자 촉구
문화산업 성장세 둔화를 두고 국회와 정부가 맞붙었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영화·게임 등 주요 산업 현장의 위기감에 강한 위기의식을 드러냈다. “K-컬처의 세계적 확산으로 어느 때보다 문화국가로서 위상이 높아졌지만, 성장세는 둔화하고 있다”는 최 장관의 발언이 정치권 논란을 자극했다.
최 장관은 이날 “문화산업은 지원이 아닌 투자의 대상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K-컬처 300조 이상의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고, 그 기초와 토대가 되는 문화예술 생태계를 더 탄탄히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디지털 신기술 확산에 발맞춘 정책 혁신도 예고했다. “AI 대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변화에 뒤처진 제도 개혁은 시급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지원뿐 아니라 문화데이터 구축·개방 확대 등 AI 시대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관광 정책 역시 경쟁국 일본을 언급하며 대대적 점검 필요성을 짚었다. 최 장관은 “방한 관광객 3천만 명을 조기에 달성할 것”이라며 “10년 전 비슷한 수준이었던 일본이 2배 더 성장했다. 방한시장 전반을 점검하고 새로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문화·스포츠의 보편적 향유 확장, 지역 관광 활성화가 병행될 때 K-컬처 파급효과로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체육 분야에서는 국민체력인증센터와 국민체육센터 건립, 국가대표 지도자 처우 개선, 은퇴선수 직업안정 등 대책을 나열하며 “국민 누구나 쉽게 운동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와 2026 밀라노 동계올림픽을 철저하게 준비하고, 국립스포츠박물관 개관까지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지원에서 투자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요구가 현실을 반영한다”는 평가와 “신기술 정책 대응이 늦으면 문화경쟁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K-컬처 도약’과 ‘현실적 산업통계 간 괴리’를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국회는 이날 국정감사를 계기로 문화산업 정책 방향 놓고 치열한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정부는 인공지능 등 기술혁신과 연계한 미래 성장 전략을 속도감 있게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