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민이 주인, 이재명 흉봐도 좋다"…이재명, 튀르키예 동포와 즉석 타운홀

정하린 기자
입력

정치적 갈등과 외교 현안이 교차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튀르키예 교민 사회를 찾아가 현장의 목소리와 정면으로 마주했다. 국빈 방문 일정 속에서 마련된 자리였지만, 형식보다 자유 토론에 방점을 찍으며 국정 운영 방식의 변화를 시도하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25일 현지시간으로 튀르키예 수도 앙카라 시내 한 호텔에서 교민 140여 명과 간담회를 열었다. 행사는 대통령의 모두발언 이후 비공개로 전환되던 기존 간담회 방식과 달리, 취재진이 지켜보는 가운데 교민들이 애로사항과 건의 사항을 자유롭게 털어놓는 즉석 타운홀미팅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 대통령은 격려사에서 튀르키예와 한국의 특수 관계를 강조하며 교민 역할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튀르키예와 대한민국은 특별한 관계로, 앞으로 서로 의지하고 협력하며 함께 갈 예정"이라며 "교민들이 그 가교 역할을 해 주고 있다. 교민들은 대사보다 더 중요한 대한민국의 얼굴"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 주권을 거듭 상기시키며 허심탄회한 발언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은 5천200만명, 교민들까지 하면 6천만명이다. 국민 한 분 한 분이 다 우리나라의 주인 아니냐"며 "그분들 개인의 목소리가 다 중요하다. 오늘은 하고 싶은 얘기를 다 하시도록 기회를 드리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에 대한 비판도 허용하겠다고 못 박았다. 그는 "이재명 흉을 봐도 괜찮다. 언론인들도 다시 들어오시라"고 말하며, 공개적이고 자유로운 토론 의지를 재차 드러냈다. 이에 따라 교민들은 생활 애로부터 외교·보훈 문제까지 다양한 현안에 대해 직접 의견을 개진했다.

 

간담회에서는 한·튀르키예 전쟁 참전용사 예우 문제가 가장 먼저 다뤄졌다. 자신을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사업회 회장이라고 소개한 한 교민은 "참전용사 중 실종된 분이 890여분 계신다. 이분들에게 생존해 돌아온 분들과 동일하게 훈장과 표창장을 줬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또 "이스탄불과 참전용사 추모공간 건립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며 사업 진척을 위한 외교적 지원을 요구했다.

 

이 대통령은 현지 공관과 정부 차원의 뒷받침을 주문했다. 그는 "대사관에서 추모공간이 잘 조성되도록 챙겨달라. 본국 정부와 튀르키예 정부도 협의해달라"며 "건설비용 등은 본국에서 지원해줄 수 있을지 검토해달라"고 답했다. 아울러 "국가보훈부 장관에게 참전 전사자 지원 확대 관련 특별 지시를 해 놓은 상태"라고 설명하며 보훈 유공자 예우 강화 의지도 부각했다.

 

교민 사회가 겪는 비자 제도 문제도 쟁점으로 떠올랐다. 한 교민은 혼인비자로 튀르키예에 입국한 한국인의 경우 배우자 사망이나 이혼 시 15일 안에 출국해야 하는 규정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개선을 요청했다. 또 한국어 학습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한국어 교수들이 노동비자를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달라는 건의도 나왔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의 일반적 비자 시스템을 언급하면서도, 양국 관계를 활용한 예외 조치를 타진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비자제도의 경우 튀르키예가 모든 국가에 적용하고 있는 시스템인 만큼 한국 교민들에 대해 특별히 제도를 바꾸기가 쉽지는 않다"면서도 "마침 튀르키예 대통령이 대한민국은 형제의 나라라고 했으니 예외를 검토해달라고 요청해보겠다"고 말했다. 한국어 교육 관련 비자 문제에 대해서도 외교 채널을 통한 해결 방안을 함께 검토하겠다는 취지로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간담회 후반부에서 이 대통령은 국가 위상과 안전에 대한 인식을 언급하며 교민들을 안심시키려는 메시지도 전했다. 그는 "대한민국이 걱정되는 나라에서 걱정되지 않는 든든한 나라로 바뀌어 가는 중"이라며 "여러분이 나라를 걱정하는 것이 아닌, 대한민국이 여러분을 걱정하며 든든한 지지자가 돼 주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대통령의 국빈 일정 중 타운홀미팅 방식 도입이 향후 국정 운영 스타일 변화와도 연결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현지 교민들의 참전용사 예우 및 비자제도 개선 요구가 국내 보훈 정책과 외교 의제에 어떤 식으로 반영될지가 관전 포인트로 떠오른 셈이다.

 

정부는 튀르키예 측과의 정상 외교 과정에서 참전기념공원 건립 지원과 비자 제도 개선 문제를 함께 논의하는 한편, 귀국 후 국가보훈부와 외교부를 중심으로 후속 조치를 검토할 예정이다.

정하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튀르키예#교민간담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