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사령관 교체 경위 집중 조사”…이보형, 내란특검 참고인 소환
드론작전사령부의 초대 사령관 교체와 작전보고 체계를 둘러싼 진실공방에 내란특별검사팀이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12·3 비상계엄과 관련된 내란 및 외환 혐의를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이보형 전임 드론작전사령관을 소환해 중대한 기류변화를 예고했다. 군 내 드론부대의 창설 배경과 작동 방식, 보고 체계까지 전방위로 겨누고 있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8월 1일을 기준으로 전날 이보형 전 사령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 전 사령관은 2023년 1월에서 8월까지 드론작전사령부 창설준비단장을 맡은 뒤 같은 해 9월 드론작전사령부가 공식 출범하면서 초대 사령관(육군 소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약 8개월로, 2024년 4월까지 사령관직을 수행했다.

특검 조사에서 핵심 쟁점은 드론작전사령부 창설 당시의 작전 설계 상황과, 실제 작전보고 체계가 어떻게 운용됐는지다. 특검팀은 이 과정에서 사령관 단기간 교체 경위에도 의구심을 갖고 사실관계 파악에 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이보형 전 사령관은 임기를 모두 채우지 못하고 8개월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으며, 지난해 5월에는 김용대 신임 드론작전사령관이 그 자리를 이었다.
군과 법조계 일각에서는 김용대 사령관의 부임 배경에도 초점이 모인다. 김 사령관은 두 차례 임기제 진급으로 준장·소장 직급에 올랐고, 이러한 진급 과정이 군 내에서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과도 얽혀 있다. 특검팀은 김용대 사령관이 합동참모본부 등 정규적인 보고 절차를 생략한 채,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보고하며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을 계획·실행했다는 의혹도 함께 조사 중이다. 이에 대해 군 내에서는 주의 깊은 시선이 쏠리는 상황이다.
특검팀의 이번 이보형 전 사령관 조사로 드론작전사령부와 관련된 의혹 수사가 더욱 확대될지 주목된다. 특검은 향후 핵심 책임자들을 추가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며, 관련 내란·외환 의혹 규명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