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익중심 실용외교 지평 확대"…오현주, G20 의장국 수임에 국격 제고 강조

강다은 기자
입력

정책 노선 차이와 외교 전략을 둘러싼 시선이 교차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20개국 G20 정상회의 외교 행보를 두고 국익 우선 실용외교를 자임하는 대통령실이 의미 부각에 나섰다. G20 의장국 수임과 미국의 정상선언 반대 등 복합 변수 속에서 향후 외교 지형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은 23일 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G20 정상회의 참석 결과를 설명하며 "국익중심 실용외교의 지평을 아프리카 등 글로벌 사우스로 확대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아프리카에서 열린 첫 G20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방문 중이다.

오현주 3차장은 "이 대통령은 이번이 아프리카에서 열린 첫 G20이란 점을 고려해 아프리카와의 연대·협력 의지를 보였다"며 "또 세계무역기구 WTO 다자무역체제 복원의 필요성도 언급했다"고 전했다. 보호무역주의 확산 속에서 한국이 다자주의 질서 복원을 지지하는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오 3차장은 이 대통령이 기후위기 대응 분야에서도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그는 "에너지 고속도로와 햇빛·바람소득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정책의 모범사례도 소개했다"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대와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강조해온 국내 정책 경험을 국제무대에서 연계한 것으로 풀이된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G20 의장국 수임이다. 오 3차장은 "2028년 G20 의장직을 대한민국이 수임했다"며 "국격을 제고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전날 채택된 G20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선언 말미에 내년 미국, 2027년 영국, 2028년 대한민국이 의장직을 수임한다는 점이 명시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로써 이 대통령은 임기 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APEC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이어 국제 협력의 최상위 포럼으로 불리는 G20 의장직도 맡게 됐다"고 강조했다. 유엔 안보리, APEC, G20 등 다자 협의체에서 연속적으로 수장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외교 무대에서의 발언권이 확대된다는 취지다.

 

오 3차장은 특히 2028년 G20 의장국의 상징성을 부각했다. 그는 "특히 2028년은 G20 출범 20주년이 되는 해로, 복합적인 국제 현안에 대한 협력 강화를 도모하는 데 우리나라가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기후위기, 디지털 규범 등 구조적 의제가 중첩되는 시점에 의장국을 맡게 된 점에 주목한 셈이다.

 

브리핑에서는 미국의 G20 남아공 정상선언 반대가 한국 외교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질문도 제기됐다. 이 대통령이 다자무역 강화와 기후대응 국제협력을 강조한 만큼, 미국 정부가 이를 부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관측이 뒤따랐다.

 

이에 대해 오 3차장은 미국의 참여 사실을 먼저 환기했다. 그는 "미국 역시 내년 G20 의장국을 맡기로 돼 있다. G20과 관련한 셰르파 회의에도 참석했고, 선언문의 문안 협상에도 참여했다"고 말했다. 실무 단계에서 미국이 협의와 조율에는 참여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오 3차장은 미국의 정상선언 반대가 G20 자체에 대한 부정으로 해석돼선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번에 미국이 G20에 불참한 것은 꼭 G20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G20은 국제경제 및 기후변화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되는 장이다. 앞으로도 이런 주요 현안들은 계속 다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G20 의장국 수임과 글로벌 사우스와의 연대 강화가 향후 한국 외교의 전략적 자산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미국과의 공조, 중국·러시아를 포함한 주요국과의 이해 조정 등 과제가 동시에 존재하는 만큼, 이 대통령의 다자외교 노선이 어떤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지에 대한 정치권 내 공방도 이어질 전망이다.

 

정치권과 외교 당국은 내년 미국 G20 의장국 수임과 2027년 영국, 2028년 한국으로 이어지는 의장국 순환을 계기로 의제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APEC, G20 의장국 경험을 토대로 국제 규범과 경제·기후 의제 설정에서 주도권을 넓혀가겠다는 구상을 계속 검토할 예정이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오현주#국가안보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