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분석 의료AI, 싱가포르 주목”…크레스콤, 학회서 글로벌 협력 가속
근골격계 영상분석 AI 기술이 아시아 의료 시장에서 혁신적 분석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 의료 인공지능 기업 크레스콤은 29일부터 31일까지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제26차 아시아 근골격계 학회(AMS) 연례학술대회에 참가한다. 이 회사가 보유한 MediAI-BA 골연령 분석 솔루션은 국내외 의료 현장에서 실제로 상용화되고 있으며, 태국 등 동남아 국가 진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는 이번 크레스콤의 학회 참가를 아시아 지역 의료AI 경쟁의 분기점으로 바라보고 있다.
크레스콤은 근골격계(Musculoskeletal, MSK) 질환을 AI 영상분석으로 진단하는 전문 기업이다. 대표 제품인 MediAI-BA 골연령 분석 솔루션은 표준화된 영상 데이터와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해, 기존 수작업 판독 대비 빠르고 일관성 있는 진단이 가능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평가에 활용 중인 무릎 골관절염 분석 솔루션(MediAI-OA)과, 세계 최초로 일반 방사선영상에서 주상골 골절을 판별하는 MediAI-FX 솔루션도 상용화해 다양한 임상환경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MediAI-FX는 기존 영상장비로 탐지하기 어려웠던 미세 골절까지 자동 분석해 판독 정확도를 대폭 높인 점이 강점으로 평가된다.

관련 제품군은 의료기관 진단보조, 원격진료, 국가건강검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입 논의가 확대, 환자들의 진단 대기시간을 줄이고 의료진의 판독 부담을 덜어주는 실효성이 주목받고 있다. AI 진단 솔루션의 적용 범위가 유소년 성장판 질환부터 고령층의 퇴행성 질환까지 넓어, 맞춤 의료 시대의 근골격계 진단 혁신을 견인할 위치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유럽 중심으로 영상분석 AI 상용화 경쟁이 치열하다. 딥마인드 등 AI기업들의 영상진단 기술이 속속 의료현장에 도입되면서, 판독 정확도와 확장성 면에서 본격적인 기술 격차 줄이기가 요동치고 있다. 동아시아와 동남아 지역 역시 인구 고령화와 만성 근골격계 질환 증가로 AI 기반 의료 솔루션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다.
의료AI 관련 규제도 선진국 대비 아시아 각료회의를 통해 표준화 논의가 이뤄지며, 향후 인증 및 임상데이터 투명성 요구가 강화될 전망이다. 국내 기업들은 심평원 등 제도 내 실사용 경험을 근거로 일부 솔루션의 인증 및 데이터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비교적 우위를 인정받고 있다.
이재준 크레스콤 대표는 “아시아 근골격계 학회는 국제 의료 커뮤니티와의 파트너십을 확장하는 기회”라며 “현지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동남아 및 동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 전문가들은 “근골격계 질환의 조기 진단과 데이터 기반 맞춤 치료가 의료 AI 성장의 새 동력으로 급부상 중”이라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크레스콤의 기술과 전략이 실제 시장에 얼마나 빠르게 안착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