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고지방 한 끼, 뇌혈관도 막는다”…밀크셰이크 섭취 영향 경고
IT/바이오

“고지방 한 끼, 뇌혈관도 막는다”…밀크셰이크 섭취 영향 경고

신유리 기자
입력

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이 뇌 건강에 단기간 내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영양생리학저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고지방 음료 한 잔만으로도 뇌로 향하는 혈류 조절 능력이 현저히 저하됐다. 이 연구는 심혈관 건강과 뇌 기능을 아우르는 식습관 관리 필요성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연구진은 18~35세 남성 20명과 60~80세 남성 21명을 대상으로 각각 총 1362㎉의 열량과 탄수화물 48g, 단백질 9.5g을 포함한 밀크셰이크를 섭취하게 했다. 실험에 사용된 음료는 생크림, 초콜릿 시럽, 설탕 등으로 제조해 포화지방 함량이 특히 높았다. 참가자들은 음료를 먹기 전과 4시간 후에 하체 운동(스쿼트) 중 초음파로 뇌 혈류 변화를 측정받았다.

분석 결과, 고지방 음료 섭취 후 젊은 층과 노년층 모두에서 뇌의 혈관 확장 능력이 떨어졌으며, 특히 60세 이상 노년 집단에서는 그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뇌 혈압 자가조절(오토리귤레이션)이 훼손될 경우 뇌졸중, 치매, 혈관성 질환 등 중대 합병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쿼트와 같은 신체 활동 중에도 뇌혈류 조정 능력이 떨어진 점은 일상 생활에서의 건강 리스크를 시사한다.

 

이번 연구는 지방 섭취에 따른 신체의 급성 반응을 실험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특히 밀크셰이크처럼 흔히 접하는 고지방 디저트가, 단 한 번의 섭취로도 즉각적인 뇌 건강 저해 효과를 보인 사례다. 해외에서는 포화지방 위주의 식사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꼽혀왔으나, 뇌혈관계에도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친다는 근거가 축적되고 있다.

 

호주 정부와 미국, 유럽은 식품 라벨링과 트랜스지방 규제 등을 강화하며 관련 건강권고를 확대 중이다. 다만 연구진은 “가끔의 고지방 섭취가 장기적 질환을 단번에 유발하진 않겠지만, 신체는 단기 노출에도 분명한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노년층일수록 뇌혈관 자가조절 기능 저하가 두드러진 만큼, 고지방 식이의 즉각적 위험성을 경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결과가 식품 개발·표시제 등 규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뉴사우스웨일스대#밀크셰이크#뇌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