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공항부터 이전해야”…무안군, 광주 공항 이전 문제에 국가 지원 촉구
광주민간·군공항 통합 이전을 둘러싼 지역 갈등이 다시 격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남 무안군은 9월 11일 “민간공항을 먼저 이전해야 한다”고 재차 주장하며, 대통령실과 광주시 등 관련 기관과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광주시 및 지역 시민사회의 입장 변화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이날 무안군 관계자는 “이재명 대통령과의 타운홀 미팅에서도 기부대 양여가 아닌 국가 차원의 지원책을 건의했다”며 “강기정 광주시장이 약속한 민간 공항 선 이전 방침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획기적인 인센티브를 제안할 경우 군민 설득도 가능하다”며 국가적 차원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최근 광주의 한 시민단체는 광주민간공항 존치와 국제선 부활을 요구하고 있어, 민간공항 이전 문제를 둘러싼 지역 내 의견차가 존속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대통령실이 주도해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이 참여하는 6자 태스크포스 구성 논의도 난항이 예상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6월 광주 타운홀 미팅에서 “군 공항 이전 문제를 국가 차원에서 해결하겠다”며 6자 TF 구성을 직접 지시한 바 있다. 그러나 실무협의회를 열고 지원방안, 부지 확보 등 실현 가능한 대안을 협의해야 하는 만큼 태스크포스 공식 출범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무안군은 광주 군공항 이전비용 마련을 위한 ‘기부대 양여’ 방안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하면서, “미래 먹거리 산업 지원 등 실질적 국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군공항 이전 인센티브로 거론된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무안 이전설'에 대해서도 “군민들의 다양한 의견 중 하나일 뿐, 공식 입장이나 제안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날 논란에 대해 여야 정치권의 공식 입장은 나오지 않았으나, 관련 6자 TF 내 협의 과정에서 추가 갈등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대통령실과 정부 부처,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물린 만큼 실질적 합의 도출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정치권은 추석 연휴 이후 이어질 6자 실무협의회에서 접점을 모색할 예정이며, 향후 TF의 공식 출범 시기 및 지원 방안 마련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