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무명용사에 헌화하며 한미동맹 상징”…이재명 대통령, 알링턴 국립묘지 참배
정치

“무명용사에 헌화하며 한미동맹 상징”…이재명 대통령, 알링턴 국립묘지 참배

강민혁 기자
입력

외교 무대에서 상징적 장면이 연출됐다. 이재명 대통령과 미국 양국 인사들이 순방 마지막 날, 워싱턴DC 인근 알링턴 국립묘지에서 격식을 갖춘 참배 일정을 소화했다. 순방 기간 연이은 정상외교를 마무리하며, 한국전 등에서 희생한 미군을 예우하는 메시지가 강조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오전 김혜경 여사,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등과 함께 알링턴 국립묘지를 찾았다. 미국 측에서는 모니카 크롤리 국무부 의전장, 앙투아네트 갠트 워싱턴 관구사령관이 동행해 예우를 갖췄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후 미국 내 공식 마지막 일정으로 기획됐다.

무명용사탑 참배 의식에는 미군 의장대와 군악대가 도열해 대통령을 맞았다. 국가 원수에 대한 예우로 예포 21발이 발사됐으며, 이어 태극기를 든 의장대, 애국가 연주가 엄숙한 분위기를 더했다. 이 대통령은 애국가에 맞춰 가슴에 손을 얹고 국기에 경례했다. 이후 '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이라 적힌 화환을 무명용사탑에 헌화하며 희생과 헌신에 경의를 표했다. 진혼곡 연주 속에서도 이 대통령은 묵념과 함께 추모의 마음을 나타냈다.

 

참배 후에는 미국 측의 안내로 국립묘지 기념관 전시실을 둘러보며 한미 양국의 전쟁사와 동맹의 역사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알링턴 국립묘지는 남북전쟁, 제1·2차 세계대전, 베트남 전쟁 등에서 전사한 참전용사 약 21만5천여 명이 안장된 미국의 대표적 국립묘지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행보를 두고 한미동맹의 지속적 유대와 상호 존중을 확인하는 상징적 계기라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순방 기간 한미정상회담 직후 거행된 참배라는 점에서 양국의 연대를 부각시키려는 의도가 엿보였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한편, 순방을 마친 이 대통령은 향후 국내외 안보·경제 협력 논의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대통령실은 “한미동맹 강화와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를 위해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전했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알링턴국립묘지#한미동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