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반복 대책 불가피”…이재명 대통령, 투기 억제와 가격 안정 재차 강조
부동산 투기 억제를 두고 정부와 시장 간의 긴장감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추가 대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취임 100일을 맞은 11일, 이재명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문제는 단 한두 번의 대책으로 해결될 수 없다”며 “두터운 시장 관행과 투기·과열 심리를 근본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는 지속적 대책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회견에서 “수요를 실수요자 중심으로 바꾸고, 투기 및 투자 유인으로 부동산을 취득하는 일을 최소화하려면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대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추가 설명을 아꼈으나, “앞으로도 수요와 공급 양측에서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한 방안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기자회견 현장에서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로 부동산 중심 심리가 지적됐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경제 구조가 기본적으로 부동산 투기 중심인 측면이 있다”며 “그 비중이 너무 크다 보니 정상적인 경제성장 발전에 장애가 되는 상태”라고 진단했다. 이어 “아직도 국민에게 ‘투자는 역시 부동산’이라는 생각이 자리 잡고 있으나, 저는 거의 막바지 단계로 향하고 있다고 판단한다”며 “부동산 가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최대한 시장 충격을 줄이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대책의 강도나 횟수는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구체적 공급·수요 대책은 이후 기회에 제시할 것”이라고 언급, 구체 정책 발표는 다음으로 미뤘다.
여전히 정부의 추가 규제 대책에 대해 여야와 전문가, 시장 참여자들의 입장 차가 심화되고 있다. 부동산 투기의 여파와 집값 안정 필요성을 둘러싸고 정치권 내에서 갑론을박이 오가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반복적 대책이 현실적 선택임을 인정하면서도, 장기적 정책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이번 기자회견으로 향후 추가 부동산 대책 및 공급 지속 여부에 대한 정치권의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시장 상황을 주시하며 단계적 공급 확대와 수요 관리 기조를 유지할 방침으로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