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축소·부지 매각 우려”…허성무, 정부에 한국지엠 대응 촉구
한국지엠의 내수 시장 축소와 공장 부지 매각 움직임이 국회에서 도마에 올랐다. 13일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의원(창원 성산)은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하며 야권과 정부 사이 긴장감을 드러냈다.
허성무 의원은 “산업은행은 한국지엠 지분 17.02%를 보유한 2대 주주이고, 한국지엠은 국민 세금 8천억원 이상이 투입된 기업”이라고 규정한 뒤, “정부는 단순한 외국계 기업 지원을 넘어 노동자와 지역사회의 생존권을 지켜야 할 책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지엠의 내수 점유율은 12%에서 1.8%로 급락했고, 연간 판매량도 2018년 9만대에서 올해 2만4천대 수준으로 줄었다”며 “이대로라면 부평·창원공장의 존립 자체가 위태롭다”고 지적했다.

특히 허 의원은 “부평공장에서 생산되는 뷰익 앙코르와 엔비스타 차량은 100% 북미로 수출되고 있다”며 “국내 출시 요구에도 회사는 묵묵부답이다. 내수 확대 기회를 스스로 차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정부가 산업은행의 지분과 비토권을 적극 활용해 한국지엠의 철수 불안감을 해소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유도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정부는 구체적인 내수 확대나 부지 매각 계획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한국지엠 및 산업은행과의 지속적 협의를 강조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정부도 한국지엠의 내수 확대 필요성과 지역사회 우려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며 “산업은행과 협력해 기업과 지속적인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답변했다.
정치권에서 한국지엠 문제를 둘러싼 긴장감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는 기업과의 협의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 모색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는 향후 한국지엠의 부지 매각 여부와 내수 확대 문제를 놓고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