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계엄사태 당시 총기 휴대·인력 파견 논의”…내란특검, 해경 간부 압수수색
정치

“계엄사태 당시 총기 휴대·인력 파견 논의”…내란특검, 해경 간부 압수수색

윤선우 기자
입력

비상계엄 선포를 둘러싼 해양경찰청 내부 논의가 수사 선상에 올랐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26일 서울과 인천 등지에서 '계엄 가담 의혹'이 제기된 안성식 전 해양경찰청 기획조정관의 관사와 자택, 해양경찰청 사무실 등 3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고 밝혔다. 이번 강제수사는 12·3 비상계엄 관련 의혹의 실체 규명에 본격 착수한 신호탄으로 풀이된다.

 

안성식 전 조정관은 계엄 사태 당시 해양경찰 내부 화상회의에서 "직원들의 총기 휴대와 합동수사본부 구성 시 수사 인력 파견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계엄 사범이 다수 발생할 것에 대비해 유치장을 비우고 정비하라"고 지시한 정황도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 특별검사팀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고, 제기된 의혹의 실체적 경위와 함께 안 전 조정관의 발언 내용과 배경을 상세히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해양경찰청은 관련 의혹이 불거진 이후 안 전 조정관을 직무에서 배제하고 대기발령 조치했다.

 

안성식 전 조정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같은 충암고 출신으로, 2022년 3월 해경 최초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파견된 경력이 있다. 이후 2년 사이 총경에서 경무관, 치안감까지 두 계급을 잇따라 승진하며 주요 보직을 맡았다.

 

정치권과 해경 안팎에서는 '내란·외환 혐의' 수사가 해경 내부 지휘 라인까지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누적돼온 계엄령 논란의 책임 소재, 그리고 당시 해경청의 대응 적법성에 대한 진상규명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검찰은 앞으로 안성식 전 조정관을 소환해 직접 조사를 벌이고, 추가 압수수색과 참고인 조사 등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날 특검의 강제수사 착수로 계엄령 수사의 파장이 해경과 정치권 전반에 확산되는 양상이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내란특검#안성식#해양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