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KLS-3021, 전립선암 잡는다”…코오롱생명과학 유전자 치료제 유럽 첫선

권혁준 기자
입력

차세대 항암 유전자 치료 기술이 전립선암 영역에서도 새로운 전기를 예고하고 있다. 코오롱생명과학이 개발한 재조합 바이러스 기반 유전자 치료제 KLS-3021은 2025년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전립선암 대상 전임상 연구 결과를 처음 공개한다. 기존 치료 옵션의 한계로 미충족 요구가 컸던 고위험 전립선암 환자들에게, 바이러스 직접 살상능과 면역세포 활성화를 결합한 혁신적 전략이 산업 내 주목을 받고 있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글로벌 유전자 치료 패러다임 경쟁의 신호탄으로 평가한다.

 

코오롱생명과학은 17~21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는 2025 유럽종양학회에서 항암 유전자 치료제 후보물질 ‘KLS-3021’의 전임상 성과를 포스터 발표한다. KLS-3021은 종양 선택성을 강화한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에 암억제성 유전자(PH-20, IL-12, sPD1-Fc)를 탑재한 형태로, 바이러스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며 동시에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이중 기전을 취한다. 전립선암 동소이식 동물모델에서 KLS-3021 1회 투여만으로 종양 크기가 유의하게 줄었으며, 대조군 저명 항암제인 도세탁셀에 비해서도 우월한 효과가 확인됐다. 또 전이성 암 모델에서는 림프절 등 원발 부위 외의 병소까지 치료 효과가 미치는 것으로 입증됐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전립선암 치료법이 환자 감시 위주이며, 진행 예측이 어려운 현실에서 전임상 역학적·기전적 우수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글로벌 시장을 보면, 바이러스 기반 항암 유전자 치료제는 미국·유럽 등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으나, 전립선암 특화 표적·기전의 치료제는 아직 초기 단계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고령화·생활양식 변화로 전세계 전립선암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환자군에 실질적 대안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코오롱생명과학이 임상으로 진입하면 식약처·EMA 등 글로벌 규제 통로를 통한 안전성·유효성 검증이 다음 관문이 될 전망이다.

 

“코오롱생명과학 KLS-3021의 첫 전립선암 전임상 성과는 항암 유전자 치료제 개발 경쟁의 분수령”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코오롱생명과학#kls-3021#전립선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