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정상회담, 기대와 현실 따로”…시진핑, 북한 답방 후 북미 중재 신호
북중 관계 복원이 급물살을 타고 있으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 결과를 두고 양국 기대와 현실이 교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북한의 요구에 일부 선을 그으며 신중한 행보를 택한 것으로 분석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9월 10일 발표한 ‘김정은의 중국 전승절 외교’ 보고서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중국 방문을 계기로 악화됐던 북중 관계를 "드라마틱하게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북중 양국은 9월 4일 정상회담에서 고위급 교류 확대와 전략적 소통 강화, 국제 및 지역 사안에서 전략적 협력 강화 의견을 교환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정상회담 직후 양국이 각각 발표한 공식 결과문에 차이가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양국의 상호이익과 경제무역 협력 심화를 통한 성과 창출"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중국은 공식 발표에서 ‘상호이익’ 표현을 누락하며 거리를 둔 태도를 보였다. 이는 북한이 오랜 기간 요구해온 무역 불균형 해소와 외화 수입 증대 의도에 대해 중국이 소극적으로 반응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은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도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과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 의지를 강조했다. 전략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중국이 북한의 오랜 요구인 ‘핵보유국 지위 인정’에는 선을 그은 것으로 풀이된다. 연구진은 "중국은 북한 핵보유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는 방식으로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북중관계의 관건이 10월 10일 예정된 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에 시진핑 주석이 방북할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내다봤다. 만일 시 주석이 북한을 직접 방문한 뒤, 잇따라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면 중국이 북미 정상회담의 중재자로 나설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런 변화는 9월 유엔총회와 10월 노동당 창건 기념행사 등에서 더욱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중국 전승절 외교가 향후 북중 관계뿐만 아니라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정치권과 외교가 일각에서는 중국의 신중한 태도가 한반도 긴장 관리와 국제 교섭 전략의 일환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북중정상회담 후단의 시진핑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향후 북중 관계의 가속화 여부와 중국의 중재자 역할 실현 가능성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