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성과연동 주식보상, 자사주 소각 회피 아니다”…삼성전자, 1조6천억 재원 내 보상 방침 재확인

최유진 기자
입력

삼성전자가 임직원 성과와 주가에 연동해 지급하는 ‘성과연동 주식보상’(PSU)에 대해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는 일각의 의혹을 공식 부인했다. 16일 삼성전자는 내부 공지를 통해 해당 제도가 정치권 상법 개정안의 자사주 소각 의무화와 무관하며, 임직원 보상용으로 이미 마련된 자사주 1조6천억 원 내에서만 운용한다고 밝혔다. PSU 도입이 자사주 소각 의무를 미루는 수단이라는 우려가 나오자, 삼성전자는 "전적으로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해명했다.

 

이번 PSU는 삼성전자가 14일 발표한 3분기 잠정실적과 함께 3년간 주가 상승폭에 비례해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겠다고 알린 신규 보상 체계다. 회사는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9월까지 자사주 10조 원을 매입했고, 이 중 8조4천억 원은 소각용, 1조6천억 원은 임직원 보상용임을 공식 공시했다. 3조 원 규모 소각은 이미 완료됐으며, 남은 5조4천억 원도 향후 적절 시점에 모두 소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성과연동 주식보상, 자사주 소각 회피 의혹 일축…1조6천억 재원 내 활용
‘삼성전자’ 성과연동 주식보상, 자사주 소각 회피 의혹 일축…1조6천억 재원 내 활용

시장에서는 임직원 보상용 자사주 활용을 통해 상법상 소각 의무화 조항을 피해 간다는 해석이 일었으나, 회사는 보상 재원으로 확보한 자사주는 이미 기존 제도인 직원 자사주 지급 및 초과이익성과급(OPI)에 사용했고, 2027년까지 점진적으로 소진될 예정임을 재차 강조했다. 2028년 이후 PSU 지급 분량에 대해선 향후 추가 매입이 필요할 수 있으나, 신주 발행 가능성은 없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PSU 제도가 성과 연동형 보상 시스템을 명확히 적용함으로써 임직원의 동기부여는 물론, 삼성전자와 주주 모두의 이해관계 일치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PSU는 기존 OPI 제도와 달리 주가 상승률에 따라 최대 2배까지 주식 보상량이 늘어나는 구조로, 2023년 10월 15일과 2028년 10월 13일의 주가를 비교해 20% 미만은 0배, 20~40% 미만 0.5배, 40~60% 미만 1배, 60~80% 미만 1.3배, 80~100% 미만 1.7배, 100% 이상은 2배로 계산된다.

 

삼성전자는 이달 중 CL 1~2등급 직원 200주, CL 3~4등급 직원 300주를 각각 약정해 2028년부터 지급할 계획이다. 회사는 임직원과 회사가 함께 성장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임을 거듭 강조했다.  

 

향후 정책 방향은 상법 개정 논의와 무관하게, 보상 재원 내 자사주 활용과 소각 양축을 모두 엄격하게 병행하는지에 따라 시장 신뢰가 좌우될 전망이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전자#성과연동주식보상#자사주소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