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AI컴퓨팅센터 유치 힘 모으자”…강기정·민주당, 지역 현안 해법 공조
광주 지역 핵심 현안과 예산을 둘러싼 협력의 장에서 광주시와 더불어민주당이 다시 손을 맞잡았다. 7일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자치분권정책협의회'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위원장을 비롯한 광역·기초단체장, 시·구의회 인사, 국회의원들이 대거 참석하며 협치의 의미가 부각됐다.
이날 협의회는 지역공약의 국정과제 반영 결과와 재정 현황을 공유하는 자리로,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실행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2026년 국비 확보와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선정 지원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양측의 협조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와 함께 호우 피해 복구·침수 예방, 주민자치회 운영 관련 법적 근거 마련, 랜드마크형 관광자원과 복합쇼핑몰 조성, SRF 제조시설 사용료 조정 중재,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설치 추진 등 다각적인 현안도 테이블에 올랐다. 시는 실질적인 예산 확보와 정책 추진을 위한 민주당의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민주당 광주시당은 2024년 협의 안건이었던 복합쇼핑몰 관련 공개토론회와 민·군 통합공항 이전 성과를 보고하며, “7대 국정공약, 15개 추진 과제가 성공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여·야, 지역사회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역설했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시는 6천억원 규모 AI 2단계 예타 면제 등 큰 성과를 거뒀고, 올해 정부 예산 역시 역대 최대 규모인 3조7천억원이 배정됐다”고 밝혔다. 이어 “광주가 원팀으로 힘을 모았기에 가능했다”며, 곧 시작될 AI컴퓨팅센터 유치를 위해 “함께 혼신의 힘을 모아 달라”고 강조했다.
양부남 위원장 역시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된 지역공약이 잘 안착하도록, 우리의 바람을 더 반영할 수 있도록 한마음 한뜻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설치 등 공동 현안이 지역 간 협력과 국가예산 확보에 직결되는 만큼, 이날 논의는 총선을 앞둔 정치권의 관심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시와 민주당은 향후 실무점검 및 후속회의를 지속하며, 각 현안 해결을 위한 실질적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