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바이오·AI에서 윈윈 협력"…김민석 총리, 개발협력 리더십·투명성 강조

전서연 기자
입력

정치권의 관심이 개발협력으로 쏠렸다. 국무조정실을 이끄는 김민석 국무총리가 국제개발협력의 방향 전환을 강조하며 책임 공여국으로서의 역할 확대를 천명했다. 국제사회로부터 도움을 받던 시절을 상기시키며, 이제는 바이오와 인공지능 등 첨단 분야에서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협력 모델을 제시한 것이다.

 

김민석 총리는 25일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국제개발협력의 날 기념식 기념사에서 대한민국의 위상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국제사회로부터 받은 도움을 잊지 않겠다"며 "바이오, AI 등 우리의 역량이 강한 분야에서 협력국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서로 윈윈하는 국제협력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한국이 더 이상 원조 수혜국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원조받던 최빈국에서 세계 13위의 선진 공여국이자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 성장했다"고 평가하면서 "빈곤, 기아, 기후, 보건 위기 등 인류가 직면한 도전을 협력과 연대로 극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이 개발협력 분야에서 중견 공여국을 넘어 책임 있는 행위자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올해 처음으로 국제개발협력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배경도 설명됐다. 김 총리는 "국제개발협력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것은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의 개발협력에 책임을 갖고 더 노력하겠다는 의지와 개발 협력 파트너들의 노고에 대한 감사의 의미를 담은 것"이라고 말했다. 제도적 기념일 지정을 통해 대내외적으로 개발협력 의지를 분명히 하겠다는 의도다.

 

정책 방향과 관련해 김 총리는 통합 관리와 평가 강화 방침을 내놨다. 그는 "통합 개발협력 시스템을 구축해 대한민국과 협력국의 상생에 도움이 되도록 사업 기획부터 평가까지 전 과정을 면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여러 부처와 기관으로 나뉜 개발협력 사업을 묶어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개발협력 사업의 투명성과 국민 신뢰 확보 문제도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김 총리는 "중요한 것은 국민의 관심과 신뢰"라며 "개발협력 사업 정보를 공개하고 성과뿐 아니라 문제점, 개선점도 드러내서 논의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외 원조 사업에 대한 감시와 평가를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향후 국회와 시민사회 논의도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가 수립 중인 중장기 전략에도 방향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김 총리는 정부가 향후 5년간 개발 협력 지침이 될 제4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있다고 소개하며 "글로벌 협력을 이끌어갈 리더십과 비전을 담아내겠다"고 설명했다. 종합기본계획에는 바이오와 AI 등 첨단 기술 분야 협력, 기후·보건 위기 대응, 투명성 강화 등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된다.

 

김 총리는 연설을 마무리하며 상생 협력의 가치를 재차 부각했다. 그는 "협력을 통해 우리도 함께 성장한다"며 "도움을 주는 나라를 넘어서 유능하고 신뢰받는 파트너 국가로서 세계와 소통하며 나아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원조 제공을 일방적 지원이 아니라 상호 이익을 창출하는 전략 자산으로 삼겠다는 메시지로 읽힌다.

 

행사 현장에서는 개발협력 유공자들에 대한 정부 포상도 이뤄졌다. 김 총리는 정유근 미라클포아프리카재단 이사장 등 수원국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우리나라 국격 제고에 기여한 국내외 인사들에게 포상을 수여했다. 정부는 향후 국무회의와 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통해 제4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을 확정하고, 대외 원조 예산 운용 방향과 분야별 협력 전략을 본격 논의할 계획이다.

전서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총리#국제개발협력의날#제4차국제개발협력종합기본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