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K팝과 팝스타의 합작”…티빙, 글로벌 경연 시리즈 첫 공개
IT/바이오

“K팝과 팝스타의 합작”…티빙, 글로벌 경연 시리즈 첫 공개

송다인 기자
입력

글로벌 음악 콘텐츠 플랫폼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CJ ENM과 미국 유레카 프로덕션이 공동 제작한 글로벌 경연 시리즈 ‘케이팝드’가 29일 티빙을 통해 전세계 동시 공개된다. K팝 아티스트와 해외 팝스타가 협업 무대를 완성하는 포맷으로, 콘텐츠 기획·유통·글로벌 협업이 융합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업계는 케이팝드의 출시를 ‘한류 OTT 경쟁의 분기점’으로 본다.

 

케이팝드는 각국 아티스트들이 팀을 이뤄 K팝 및 팝 명곡을 새롭게 해석하는 경연 음악 프로그램이다. 8부작 구성으로, 싸이와 3회 그래미 수상자인 메건 더 스탤리언이 출연을 확정했다. 빌리, 있지, 케플러, 에이티즈, JO1, 스테이씨, 키스오브라이프, 블랙스완 등 다수 K팝 그룹과 함께 스파이스 걸스의 멜라니 B·엠마 번튼, 바닐라 아이스, 케샤, 보이즈 투 맨, 카일리 미노그, 제이 발빈 등 해외 팝스타가 총출동한다. 한정된 시간 내 연습과 리허설을 거쳐 새로운 무대를 선보이는 방식이며, 서울 라이브 공연에서 관객 투표로 우승팀이 결정된다. 회차별 피날레는 K팝 대표 퍼포먼스가 장식한다.

이번 시리즈는 CJ ENM이 케이콘, 마마 어워즈 등 오랜 글로벌 제작·기획 경험을 집약해 마련했다. 이미경 CJ 그룹 부회장, 라이오넬 리치 등이 총괄 프로듀서진으로 이름을 올려, 기획·연출력에서도 업계 평균을 앞섰다는 분석이다. 기술적으로는 OTT 플랫폼인 티빙의 글로벌 동시 공개 및 애플 TV+ 브랜드관 서비스 등, 앱 기반 멀티채널 배포·시청 환경을 본격 적용했다.

 

토종 OTT 티빙의 이번 행보는 글로벌 음악 시장과 한류 라이선스 사업 모두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음악·엔터 산업의 스트리밍 전환 가속화, 플랫폼 독점 콘텐츠 확보 경쟁이 맞물리며, 오리지널 음악 IP(지적재산)의 중요성이 커진 양상이다. CJ ENM과 유레카의 합작 모델은 세계적 음악 이벤트와 비교해도 출연진·기획 범위 면에서 선명한 차별성을 보인다. 미국 NBC, 영국 BBC 등 전통 미디어의 글로벌 음악 예능도 유료 구독·OTT 융합 흐름을 강화하고 있어 직접적 경쟁이 불가피하다.

 

플랫폼 사업자의 자체 제작 콘텐츠 확보, 아티스트 간 협업의 저작권·수익 배분, 데이터 기반 글로벌 시청자 분석 등 복합 이슈도 부상 중이다. 또 현장 관객 투표 등 실시간 엔게이지먼트, 시청권 구매·구독 모델의 확장 역시 제도적 해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산업계는 이번 시리즈가 K팝·팝의 경계를 넘나드는 협업과 채널·마켓 다각화를 동시에 실험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문화콘텐츠의 글로벌 유통구조, 음악산업의 플랫폼 혁신에서 새로운 선례가 될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티빙#cjenm#케이팝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