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복구 47.9%”…장기조직 시스템 우선 정상화
정부가 대전 본원 화재로 대규모 장애가 발생한 전산망 시스템 가운데 절반가량의 복구에 성공했다. 이번 조치는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장기조직혈액통합관리시스템 등 핵심 인프라의 신속한 복구를 통해 공공 IT 인프라의 신뢰성을 확보하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업계는 대규모 행정정보시스템의 복구 과정을 사이버 복원력 및 국가 정보기술 거버넌스 시험대로 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17일 낮 12시 기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장애가 발생했던 709개 정부 시스템 중 340개(복구율 47.9%)를 복구했다고 밝혔다. 신규로 복구된 시스템은 보건복지부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과 국가데이터처 초중등실용통계교육시스템(통그라미)로, 특히 장기조직혈액 시스템의 조기 복구는 국민 의료안전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복구 현황을 등급별로 보면, 핵심 업무인 1등급 시스템은 40개 중 31개(77.5%), 2등급은 68개 중 41개(60.3%), 3등급은 261개 중 138개(52.9%), 4등급은 340개 중 130개(38.2%)가 정상화됐다. 정부는 남은 1·2등급 시스템 288개는 10월 말까지, 기타 76개 시스템은 11월 20일까지 복구 완료를 목표로 일정을 조정하고 있다.
특히 이번 화재 사태는 중앙집중식 IT 인프라의 장애 리스크와 재해복구(DR, Disaster Recovery) 전략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장애 발생 이후 일부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이관해 병렬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번 대상에는 소방청, 복지부 등 5개 부처가 포함돼, 이전 일정 및 복구 계획의 투명성이 강조되고 있다.
글로벌 수준에서 볼 때, 정부 핵심 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와 재해대비책 마련은 EU·미국 등 주요국의 ‘사이버 복원력법(Digital Operational Resilience Act)’ 및 연방 DR센터 운영 방식과 비교된다. 데이터 이중화와 업무 복구 자동화, 센터 간 분산관리가 점차 표준적 요구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앞으로 거버넌스 강화와 맞춤형 DR체계 구축, 장애 발생시 실시간 복구 효율성 제고 등 제도 개선에도 나설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국가 기반 IT 인프라의 안전성 확보는 단순한 장애 복구를 넘어 국민 신뢰의 문제”라며 “실시간 이중화 및 분산 백업 모델 도입이 장기적으로 중요해질 것”이라고 해석했다.
산업계는 대형 IT인프라의 재해대응 방식이 국가 행정 시스템의 미래 경쟁력의 주요 축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운영체계의 재설계, 그리고 정책적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