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칩 대중 수출 재개 물꼬 트나”…엔비디아 젠슨 황, 트럼프 영국 국빈방문 동행에 업계 촉각
현지시각 8일, 영국 런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USA) 대통령의 국빈 방문 일행에 ‘엔비디아(Nvidia)’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동행하는 사실이 확인됐다. 오픈AI 샘 올트먼, 블랙스톤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록 래리 핑크 등 미국 빅테크 및 금융 리더들이 함께 포함된 이번 순방은 미중 기술·통상 갈등 속 AI 칩 수출 문제를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황 CEO의 이번 방영은 지난 5월 사우디아라비아 투자 포럼 참석 이후 약 3개월여 만에 이뤄졌다. 황 CEO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 주재 백악관 만찬에는 불참한 바 있으나, 이번 국빈 순방에는 직접 참여해 AI 칩 사업의 대중국 수출 재개를 위한 정책 협의에 힘을 싣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팀 쿡 CEO 역시 초청된 것으로 전해졌으나 참석 여부는 공식 확인되지 않았다.

미국(USA)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첨단 AI 칩 H20의 대중 수출을 중단시킨 이후, 엔비디아는 두 차례에 걸친 백악관 면담을 통해 제한 일부를 해제하고 수출 재개 승인을 이끌어냈다. 엔비디아는 수출 제한이 없었다면 직전 분기 매출이 80억 달러까지 달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표했으며, 이번 분기에는 H20 칩 판매 규모가 최대 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젠슨 황 CEO는 투자자 대상 설명에서 “AI 칩 ‘블랙웰’의 중국 판매는 인허가에 시간이 소요되나, 승인 기대는 유효하다”며 정부 협상 상황을 언급했다. 트럼프 행정부 역시 대중반도체 규제의 실효성, 미중 기술주도권 경쟁의 틈에서 현실적 정책 조율을 모색하는 모습이다.
엔비디아의 AI 칩 대중국 판매 움직임에 대해 글로벌 증시와 산업계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CNBC 등 외신들은 “AI 칩 산업 질서의 가늠자”라고 평하며, 시장의 매출 전망 및 점유율 재편 양상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기술 기업들과의 공조를 외교 무대로 확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승인, 혹은 중국을 겨냥한 신규 수출 규제 등이 엔비디아 및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국빈 방문이 미중 첨단 기술 수출 경로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해석했으며, 투자자들과 업계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와 엔비디아의 실질적 대중 수출 재개의 향방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