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P-1 비만약 처방제한”…원격의료업계, 준수 강화 나섰다
GLP-1 계열 비만치료제의 무분별한 처방과 오남용 우려가 커지자, 원격의료 플랫폼 업계가 정부의 처방 제한을 자발적으로 엄격하게 준수하고 나섰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는 보건복지부가 지시한 ‘비대면 비만치료제 처방 제한’ 정책을 회원사 전반에 적용하고, 별도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각 플랫폼의 준수 상태를 점검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최근 일부에서 제기된 “비대면진료가 마운자로와 같은 비만약 오남용의 원인”이라는 지적에 대해 업계는 신속히 반발하며, 실효성 확보에 나선 셈이다.
핵심 논란의 계기는 지난해 12월 2일부터 시행된 보건복지부의 비대면 비만치료제 처방 제한 조치다. 당국은 위고비, 마운자로 등 GLP-1 작용제 기반의 비만치료제가 국내에 연이어 출시되자, 대면·비대면진료 경로를 가리지 않고 무분별한 처방과 비허가 유통이 논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처방 제한에 나섰다. 실제로 이들 약물은 의학적 필요가 아닌 미용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기대 효과보다 각종 부작용 우려가 커, 대한비만학회에서도 우려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비대면진료 분야에서는 상반기 내 전문가와 환자단체 등 현장 목소리를 종합해, 안전성과 접근성을 함께 고려한 ‘비만환자 비대면진료 제공 모델’을 별도로 고민한다는 방침이다. 플랫폼 업계는 자체 모니터링 체계로 복지부 정책의 실효성 제고와 부작용 예방에 공동 대응하며, GLP-1 계열 약물의 관리감독을 높였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비만치료제와 원격의료의 접점 규 제가 이전보다 엄격해지는 추세로 보인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 역시 온라인 진료 플랫폼을 통한 약처방에서 우회 경로, 데이터 기반 위험도 평가 등 안전망을 강화 중이다.
전문가 그룹은 “비만치료제의 사용 확대 국면에서 합리적 처방 통제와 환자 교육, 플랫폼의 책임강화가 동반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산업계는 이번 조치가 비대면진료 서비스의 신뢰도와 안전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