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계열사 80개로 축소”…카카오, AI 중심 재편 속 실적 최대치

허준호 기자
입력

카카오가 인공지능(AI)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전사적 구조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13일 카카오에 따르면, 정신아 대표는 주주 서한을 통해 “계열사 수를 기존 132개에서 99개로 줄였고, 연말까지 80여 개로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I 신사업 강화와 사회적 신뢰 회복을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의 계열사 축소는 2023년 9월 정신아 대표 취임 이후 본격 추진됐다. 당시 142개였던 계열사는 2년 만에 약 30% 줄어드는 셈이다. 이에 따라 카카오의 2024년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859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약 39% 증가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고를 나타냈다.

출처=카카오
출처=카카오

시장에서 카카오의 선택은 ‘AI 중심 조직 재편’을 통한 수익성 강화 시도로 해석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AI 투자 집중과 비핵심 계열사 정리는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경영효율성 제고에 긍정적인 신호”라고 말했다.

 

앞으로 카카오는 ‘5000만 사용자를 위한 AI’ 구현을 목표로 한다. 오픈AI와 협업한 ‘챗GPT 포 카카오’는 이달 말에 출시되고, 카카오톡 내 채팅탭에서 바로 챗GPT를 이용할 수 있다. 자체 경량 AI 모델인 ‘카나나 나노’도 온디바이스 AI 서비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을 통해 선보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카카오는 AI 생태계 확장에도 나선다. 콘텍스트 프로토콜(MCP)과 에이전틱 AI 플랫폼을 적용해 외부 서비스를 AI 에이전트로 연결하고, ▲주주가치 제고 ▲AI 인재 육성 ▲소상공인 지원 등 책임경영 강화도 본격 추진한다. 경영진 보수 체계의 TSR 연계, 청소년 AI 교육 및 창업 지원, 소상공인 대상 맞춤 컨설팅 등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같은 기간 대내외 성장 둔화 우려가 적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카카오의 실적 반등과 조직 효율화는 업계에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향후 카카오의 AI 전략과 성과가 IT·플랫폼업계 전반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주목된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카카오#정신아#챗gpt포카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