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위기청소년은 지역이 함께 책임져야”…울주군, 기관 협업 대응체계 강화 나서

김소연 기자
입력

위기청소년 보호 체계를 두고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기관이 머리를 맞댔다. 지역 단위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울산 울주군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협의로 옮겨가고 있다.  

 

울산 울주군은 26일 울주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청소년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울주경찰서 등과 함께 청소년복지실무위원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최근 증가하는 위기청소년 사례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우선 위기청소년 사례를 중심으로 기관 간 초기 대응 방법을 점검했다. 위기 상황이 감지됐을 때 어떤 기관이 먼저 개입할지, 이후 어떻게 연계할지에 대한 역할 분담이 주요 논의 대상이 됐다. 아울러 위기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정보공유 절차와 개인정보 보호 원칙을 조화시키는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특히 긴급 개입이 필요한 상황에서 기관들이 중복 대응하거나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협업 프로세스를 명확히 하는 데 의견이 집중됐다. 울주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울주경찰서는 각각 상담, 보호, 치료, 수사와 안전 확보 등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어,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참석자들은 개별 기관의 단독 개입으로는 복합적인 위기 상황을 해소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연계와 협업 중심의 대응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복지, 상담, 정신건강, 치안이 동시에 작동하는 통합적 지원 모델이 필요하다는 데도 인식을 같이했다.  

 

울주군 관계자는 위기 대응의 방향성을 두고 "위기청소년 지원은 단일 기관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복합 문제"라며 "지역 기관들과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위기 상황에 놓인 청소년에게 필요한 도움을 빠르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역 사회 전반의 참여를 전제로 한 상시 협의체 운영 의지도 드러냈다.  

 

울주군은 청소년복지실무위원회를 정례화하고, 기관 간 연락체계와 매뉴얼을 정비하는 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지자체 주도의 협업 모델이 자리 잡을 경우, 향후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울주군#울주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위기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