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국익에 도움 58%”…이재명, 한미정상회담 평가 긍정 우세
정치

“국익에 도움 58%”…이재명, 한미정상회담 평가 긍정 우세

박진우 기자
입력

한미정상회담을 둘러싼 여론의 향방이 정국에 새로운 변수로 부상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일본과 미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가운데, 정상회담의 국익 기여 여부를 놓고 긍정과 부정 평가가 뚜렷하게 엇갈리고 있다. 한국갤럽이 2025년 8월 26일부터 28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이번 한미정상회담이 ‘국익에 도움이 됐다’는 응답은 58%로 나타난 반면,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23%였다. 응답자 중 18%는 의견을 유보했다.

 

정상회담에 대한 긍정 평가는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됐으나, 정치 지형에 따라 인식차가 두드러졌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부정 평가(55%)가 긍정 평가(27%)의 두 배 이상이었다. 보수층에서도 찬반이 38% 대 44%로 비슷했고, 무당층은 39% 대 32%로 오차 범위 내 접전을 보였다.

한국갤럽
한국갤럽

한미정상회담 성과에 대한 평가는 현재 진행형이다. 그러나 2024년 미국 대선 이후 한국 사회에 만연했던 우려와 비교하면 이번 순방 결과는 “선방했다”는 해석이 적지 않다. 참고로 과거 주요 정상회담 뒤 여론과 비교 시, 윤석열 전 대통령은 첫 NATO 정상회의 참석 직후 ‘국익에 도움’ 48%, 북미 순방 33%, 미국 국빈 방문 42%의 긍정 평가를 받은 바 있다. 박근혜, 문재인 전 대통령의 첫 미국 방문 직후에는 각각 66%, 71%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정상회담에 긍정적 평가를 내린 이들은 ‘관세 문제 대처·협상’(16%), ‘만남·교류·소통’(10%), ‘분위기 좋음’, ‘관계 개선·동맹 강화’, ‘경제 협력’ 등이 주된 이유로 꼽혔다. 반대로 부정 응답자들은 ‘실익 없음’, ‘미국에 양보’, ‘관세 낮추지 못함’, ‘미국에 끌려감’, ‘합의 없음’ 등 실리 부족을 지적했다.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해석에 온도차가 감지된다. 여권 인사들은 “외교적 노력이 정책적 신뢰로 이어진 결과”라고 강조한 반면, 야권과 보수 진영 일부에서는 “실질적 이득 없는 빈손 회담”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시민사회 내에서도 “경제외교 면에서는 진전이 있었으나 한미관계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긴 역부족”이라는 목소리가 이어진다.

 

앞으로 한미정상회담의 실제 성과가 국내 정치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국회와 정치권은 향후 추가 외교적 성과와 세부 이행계획 등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한미정상회담#한국갤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