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항소포기 명칭 두고 신경전”…여야, 대장동 국정조사 추가 논의만 합의

문경원 기자
입력

검찰의 대장동 재판 항소 포기를 두고 여야가 또다시 정면으로 부딪혔다. 양당 원내지도부가 11일 국회에서 만나 국정조사 실시 방안을 논의했지만 입장차만 확인한 채 결론을 내지 못했다. 항소포기 사태의 명칭과 해석을 둘러싼 신경전이 거세지며 정치권의 긴장감도 높아졌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회동해 항소포기를 둘러싼 국정조사 추진 여부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았다. 양당 원내수석부대표는 회동 후 별다른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유상범 원내수석부대표는 "국정조사와 관련해서 추가 논의하는 것으로 정리됐다"며 "시간이 되는 대로 계속 원내대표 간 회동을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당의 입장차는 이날 회동에서도 확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검찰의 대장동 사건 수사와 기소를 조작으로 규정하면서, "이번 검찰의 항소 포기는 마땅한 항소 자제"라고 강조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정권의 외압이 있었던 것"이라며 배경을 문제 삼았다. 언론 브리핑에서도 갈등 양상이 그대로 드러났다. 민주당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가 "조작 기소와 항명, 항소 자제에 대한 국정조사는 추후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고 하자, 국민의힘 유상범 수석부대표는 "발언을 정정해야 한다. 항소 포기 외압으로 해야 실체에 맞다"고 즉각적으로 반박했다. 문 수석부대표도 "외압인지 아닌지 규명이 안 됐는데 외압 용어 사용은 적절치 않다"며 맞받았다.

 

한편 이날 회동에서는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국정조사 위원회 구성도 논의됐다. 문진석 수석부대표는 "여객기 참사 국정조사 위원 구성에 대해 의견 접근을 보고 있다"고 밝혀, 해당 사안에 대해서는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의 대장동 국정조사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회는 다음 회기에서 항소포기 사태의 국정조사 실시 여부를 두고 다시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

문경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더불어민주당김병기#국민의힘송언석#대장동국정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