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청년미래적금 신설”…정부, 구직난 속 연 16.9% 혜택으로 자산 지원 강화
경제

“청년미래적금 신설”…정부, 구직난 속 연 16.9% 혜택으로 자산 지원 강화

박진우 기자
입력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미래적금’이 신설된다. 정부는 9일 국무회의에서 2026년 예산안 심의를 통해 이 같은 방안을 공식화했다. 최근 구직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청년에 대한 자산 지원과 주거 안정을 함께 강화하는 정책이다. 기존 청년도약계좌 대비 만기 기간이 3년으로 단축되고, 정부 지원 폭이 크게 확대됐다.

 

청년미래적금 지원 대상은 연 소득 6,000만원 이하, 만 19~34세로, 연 매출 3억원 이하 자영업자도 포함된다. 가입자는 월 최대 5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3년 만기 상품으로 재설계됐다. 정부 매칭 지원은 일반형과 우대형으로 구분된다. 일반형은 납입금의 6%를 매달 지원해 총 최대 약 2,080만원 수령(연이자 12% 수준)이 가능하고, 우대형(중소기업 신규 취업 청년 대상)은 12%를 지원해 2,2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 연이자 16.9%에 달한다.

출처=기획재정부
출처=기획재정부

이에 따라 기존 청년도약계좌는 올해까지만 가입할 수 있고, 내년부터 폐지된다. 정부는 도약계좌 가입자가 미래적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특별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비수도권 중소기업 취업 청년의 근속 유인을 위한 지원도 신설됐다. 일반 지역은 2년간 480만원, 인구감소지역은 600만원, 특별지역은 720만원까지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아울러 저소득 청년을 대상으로 한 월세 20만원, 최대 2년 지원과 함께, 청년 공공임대주택 공급도 3만5,000호로 확대하는 등 주거 안정책이 보강된다.

 

정부 관계자는 “복잡했던 기존 청년도약계좌의 만기를 단축해 실질적인 청년 자산 형성을 유도하고, 구직·근속·주거 전반에서 청년 부담 경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자격 요건·예산 확보 등 과제에 대한 꼼꼼한 후속 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향후 정책 효과 여부는 고용·가계소득·주거지표 등 청년 경제환경 변화에 좌우될 전망이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청년미래적금#청년도약계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