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린 내정보 찾기 복구”…개인정보위, 대국민 데이터 안전망 재가동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개인정보위원회가 운영 중단됐던 '털린 내정보 찾기' 서비스를 정상화해 데이터 안전망을 재가동했다. 해당 서비스는 다크웹 등 비공개 온라인에서 개인정보 불법 유통 여부를 실시간 점검할 수 있는 체계로, 개인정보가 유출된 피해자들이 2차 피해를 예방하도록 돕는 핵심 인프라다. 지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일시 중단됐으나, 개인정보위원회가 데이터 손실 및 시스템 전반을 면밀히 점검한 결과, 기능 이상 없이 정상 운영이 가능하다고 확인됐다.
'털린 내정보 찾기' 서비스는 웹 크롤링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음지 사이트에서 유통되는 ID, 패스워드,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를 탐지하는 원리다. 데이터베이스 내 일치 정보 발생 시, 사용자의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신속하게 알림을 제공한다. 기존 수동 신고 방식 대비 탐지와 통보의 속도, 범위 모두 대폭 개선됐다는 평가다.

이 서비스는 각종 금융계정,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해킹 사고가 증가하는 디지털 시대에, 개인정보 유출 피해 확산을 막는 할약을 한다. 개인정보 침해 위험군 사용자는 빠른 시점에 사실을 인지해 패스워드 변경, 2차 인증 등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실제 이용자 설문 결과, 심리적 불안 해소와 실질적 사고 대응이 가능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해외에서도 유사 서비스가 확대되는 추세다. 미국은 유출 알림 서비스를 대형 IT기업·은행이 자체 제공하며, 유럽도 정보유출 대응 대국민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이번 '털린 내정보 찾기' 복구로 실시간 탐지 및 통보 체계의 필요성이 다시 부각될 전망이다.
개인정보위원회는 복구 과정에서 운영 정상화 체크리스트를 마련해 기능별 데이터 손실 여부까지 점검했다며, '개인정보 노출방지', '업무포털', '안건관리' 등 내부 시스템 역시 모두 정상화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개인정보 포털, 배움터, 종합지원 등 미복구 6개 대국민 시스템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협의해 순차적으로 서비스 재개를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사회 안전망이 시스템 단일화, 원격 점검에 치중되며 대형 장애 리스크가 상존한다”며 “동시 복구 프로토콜과 분산 관리까지 제도화해야 서비스 신뢰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서비스 복구가 실제 개인정보 유출 피해 저감에 기여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