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3.08% 상승”…성수기 소비 회복 기대에 외국인 매수세 견인
11일 이마트 주가가 7만7,000원으로 전일 대비 3.08% 오르며 단기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대형 유통주의 순환매와 성수기 소비심리 회복 기대가 맞물리면서 투자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 들어 할인점·창고형 매출 개선 등 구조적인 실적 회복 신호가 나타나고 있는지 주목하고 있다.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이마트는 최근 한 달간 연초 대비 낙폭을 일부 만회하며 중기 저점 탈피 흐름을 강화하고 있다. 10월 말 이후 거래량이 뚜렷이 늘어난 가운데, 외국인은 11월 초부터 6거래일 중 4일 동안 순매수세를 유지했고, 11일 기준 순매수량은 5만2,843주에 달했다. 기관 투자자 역시 11월 중순 들어 순매수로 전환하며 지지세를 보였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차익실현 매도가 늘며 단기 변동성을 유발했다.

동일 업종 내에서 이마트는 당일 기준 +0.0308의 등락률로 현대백화점(-0.0427), 롯데쇼핑(-0.0157) 대비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시가총액은 2조1,248억 원(11일 기준), 외국인 지분율은 24.94%로 동종사 대비 높은 수준이다. 2025년 예상 매출액은 29조1,120억 원, 영업이익은 4,560억 원(영업이익률 1.57%)으로, 전년(-0.16%) 대비 개선될 전망이다. 배당수익률 역시 2.60%로 업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연말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대규모 프로모션, 할인점·창고형 매출 증가 기대가 투자심리를 자극했다고 평가한다. 11일 동반성장위원회와의 협력사 ESG 지원 업무협약 체결 역시 장기 체질 개선 신호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ESG 경영 강화가 공급망 효율화와 함께 비가격 경쟁력 확보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종합 유통환경 측면에서 이마트는 오프라인 할인점·창고형 강화와 트레이더스·이마트24 등 매출 구조 개선에 집중해왔다. 반면 온라인 플랫폼·경쟁 심화, 부동산 자산 가치 하락 우려 등 일부 리스크도 상존한다.
단기적으로는 외국인 매수세, 성수기 프로모션 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나, 온라인 부문 경쟁 완화 여부와 유통경기 전반의 둔화는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요인이다.
향후 이마트의 주가 흐름은 구조조정 효과, ESG 기반 리스크 관리, 시장 내 경쟁 환경 등 복합적 요인에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단기 주가 변동성보다 할인점 중심의 실적 회복과 장기 밸류에이션 개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