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면 합의·국익 훼손 결코 없다”…이재명 대통령, 미 구금 한국인 석방 및 대미 협상 원칙 강조
정치적 충돌 지점에 한미 양국 정부가 맞붙었다. 미국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 노동자들의 석방과 관세 협상을 둘러싼 논란이 확대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9월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귀국 일정과 협상 방식 등 핵심 사안에서 양국간 긴장감이 고조된 상황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가장 최신 정보로는 한국시간 오후 3시, 우리 국민이 미국 구금시설에서 출발할 예정”이라며 “비행기는 내일 새벽 1시쯤 이륙해, 오후쯤 서울에 도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국인 석방인원에 대해선 “우리 국민이 총 316명으로, 남성 306명과 여성 10명이다. 외국인 14명이 추가돼 총 330명”이라며 구체적 숫자를 밝혔다. 다만 가족이 영주권자인 1명은 미국에 남는 것을 선택했다고 부연했다.

이 대통령은 석방 절차 지연에 대해 “버스로 이동해 비행기에 탈 때까지 미국 영토이기 때문에, 미국 정부는 수갑을 채운 채 이송하겠다 했고, 우리 정부는 절대 안 된다고 맞섰다”며 양측이 갈등을 빚었음을 전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의 지시다. 자유롭게 가게 하라. 하지만 가기 싫은 사람은 보내지 마라’는 명확한 지시를 내렸고, 이에 행정절차가 바뀌어 일시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대미 관세협상과 관련해선 원칙적 입장을 잇따라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작은 고개를 하나 넘었다고 한 적 있지만, 앞으로도 퇴임 순간까지 넘어야 할 고개가 수없이 많다”며 신중함을 내비쳤다. 그는 “분명한 것은 어떤 이면 합의도 없으며, 대한민국 국익에 반하는 결정 또한 절대 없다. 합리성과 공정성을 벗어난 협상은 없다”고 재차 밝혔다.
정부는 본 사태로 현지 투자나 비자 발급 등 추가 현안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미투자와 관련된 비자 발급, 인원 여유분 확보, 새로운 유형 신설 등 현실적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미국도 필요성이 있다면 충분히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의 투자 위축 우려와 대응책 마련도 병행될 전망이다.
정치권 반응에선 여야 모두 정부의 강경 원칙론에는 대체로 공감하면서도, 협상 전략이나 장기적 대미관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양국 간 신뢰 구축과 국민 불안 해소라는 두 과제를 균형 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향후 한국과 미국 정부는 노동자 보호, 투자환경 개선, 관세협상 등 굵직한 현안을 두고 조율을 이어갈 전망이다. 정부는 사태 수습과 재발 방지책 마련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