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트럼프, 구금 한국인 美 체류 권유”…조현 장관-루비오 회담서 귀국 지연 배경 확인
정치

“트럼프, 구금 한국인 美 체류 권유”…조현 장관-루비오 회담서 귀국 지연 배경 확인

정재원 기자
입력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의 귀국 절차를 두고 한미 간의 외교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체포·구금된 이들의 귀국이 지연된 배경에 대해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의 면담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던 사실이 드러났다. 귀국 절차를 둘러싼 미국 측 행보와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 개입이 확인되면서, 한미 외교 현안으로 비화하는 모양새다.

 

외교부 관계자는 9월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대사관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조현 외교부 장관이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나 이야기한 결과, 미국 측 사정이란 트럼프 대통령의 특정 지시 때문임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된 한국 국민을 모두 숙련된 인력으로 평가해, 이들이 미국에 계속 남아 현지 인력 교육·훈련에 참여하거나, 귀국 방안을 신중히 판단하라고 미 당국에 일시 중단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고 덧붙였다.

현장 면담에 나선 조현 외교부 장관은 “우리 국민은 장기 구금 상태에서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다. 먼저 귀국했다가 필요 시 미국에 재입국해 일하는 방안을 제안했다”면서, “미국도 이러한 입장을 존중해 구금 한국인의 귀국을 허용하기로 사실상 합의했다”고 전했다.

 

한편, 구금시설에서 공항까지의 호송 과정에서 신체 속박 조치 관련한 논란에 대해 외교부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당국의 기존 호송 규정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수갑 등 신체적 속박 없이 호송할 것을 직접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태도에 대해 “이번 성공적인 한미 정상회담으로 형성된 두 정상 간의 깊은 신뢰와 한국 정부의 일관된 입장 전달이 배경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미 외교 라인은 양국 국민 안전과 체류 사안에 대해 더욱 긴밀한 협의에 나섰다. 외교부는 “우리 국민이 석방돼 안전하게 귀국할 때까지 미측과 협의 및 지원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양국은 향후 귀국 절차가 안전하게 마무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외교적 접촉을 이어갈 계획이다.

정재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현#트럼프#루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