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 리터러시가 미래 갈랐다”…뤼튼, 전국민 교육 골든타임 강조

장예원 기자
입력

AI 격변기가 국가 산업과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골든타임으로 부각됐다. 국내 AI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의 이세영 대표는 11일 국회에서 열린 ‘K-AI 리터러시 미래교육 포럼’에서 "전국민 대상 AI 이해·활용 역량인 ‘AI 리터러시’ 교육이 국가 경제력과 미래 세대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2000년대 초 정보화 정책이 IT강국을 이끈 역사에 비추어, 현재 AI 대전환기에도 민관 협력과 선제적 교육 투입이 필수라고 진단했다. 그는 뤼튼이 현장에서 AI 솔루션을 개발, 학교·기업 등에 보급한 경험을 토대로 "AI 리터러시를 초중등부터 전 국민까지 확산시킬 실질 교육 플랫폼을 민관이 함께 기획할 시점"이라고 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국내 AI 교육 현장의 한계와 개선 과제도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유재연 한양대 교수는 "OECD 기준 AI 리터러시 지표가 한국은 평균보다 27% 낮고, AI 교육 수도권 집중도는 74%에 달한다"며 지역·계층 격차 해소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또 교사 연수 체계가 미흡해 교육 전문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현장 목소리도 이슈로 부각됐다. 삼척초 현직 교사는 "AI 교육이 교사 피로도를 높여 지속성에 한계가 있다"며 지도교사 공식 인증제와 연수 지원, 승진 연계 등 실효성 높은 동기부여 정책을 제안했다.

각계에서는 AI 리터러시 도입이야말로 향후 10년간 사회 양극화 완화, 산업 전환 가속화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유럽 등은 초중등 의무 교육과 교원 역량 인증제를 이미 도입해 디지털 격차 축소에 나서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AI 활용법만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 데이터 윤리에 기반한 국가 표준 수립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정부는 현행 ‘AI·소프트웨어 교육’ 외에 민간의 혁신 역량과 공공 제도적 기반의 접목 방안을 모색 중이다. 조인철 국회의원은 "AI 분야의 발전이 교육·산업 모든 부문에 파장을 미치고 있다"며 "정책 지원과 현장 맞춤형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전국민 AI 리터러시 교육이 실제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장예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뤼튼#ai리터러시#유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