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존중 TF 가동"…정동영 통일부 장관, 12·3 비상계엄 관여 직원 전수 점검 착수
정치권을 뒤흔든 12·3 비상계엄 논란을 둘러싸고 행정부 내부 점검이 본격화됐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직접 단장을 맡는 헌법존중 정부혁신 태스크포스가 출범하면서, 통일부 내 계엄 관여 직원 전수 점검이 시작됐다.
통일부는 21일 헌법존중 정부혁신 태스크포스, 이른바 헌법존중 TF를 구성해 내년 1월 말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TF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통일부 직원 11명과 민간 전문가 2명 등 총 13명으로 꾸려졌다.

TF는 12·3 비상계엄에 관여한 통일부 소속 직원을 파악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두고 있다. 통일부는 다음주부터 TF를 본격 가동하고, 계엄 관여 직원에 관한 제보를 받기 위한 창구를 다음달 초에서 중순 사이에 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제보 창구의 위치와 접수 방식, 제보자 보호 대책 등 구체적인 운영 방안은 국무총리실과 협의해 확정된다. 통일부는 총리실과의 조율이 마무리되는 대로 내부 직원과 대국민 안내를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정동영 장관이 직접 단장을 맡으면서 TF는 단순 조사 조직을 넘어 부처 차원의 자정 의지를 드러낸 조치로 해석된다. 통일부 안팎에서는 12·3 비상계엄 과정에서 외교·안보 라인과의 협조 여부, 지시 체계, 보고 라인 등이 함께 점검 대상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치권에선 통일부의 TF 가동을 계기로 다른 부처로도 유사한 조사 체계가 확산될지 주목하고 있다. 야권은 국회 차원의 진상 규명과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여권 일각에서도 헌법 질서 훼손 여부에 대한 명확한 정리가 필요하다는 기류가 감지된다.
통일부와 총리실의 협의 결과에 따라 제보 창구 운영 방식과 조사 범위가 가늠될 전망이다. 국회는 향후 관련 국정감사와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헌법존중 TF의 활동 경과를 점검하며 12·3 비상계엄 논란의 책임 소재를 따져볼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