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슬림폰 대신 스펙 강화”…삼성·애플, 무게·두께 늘려 성능 승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더 얇고 가벼운 초슬림폰 경쟁에서 한발 물러나고 있다. 삼성전자와 애플 모두 초박형·초경량 신제품을 선보였으나, 시장의 반응이 저조하자 두께와 무게를 늘린 ‘스펙 우선 전략’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업계는 내년 출시될 갤럭시 S26 시리즈와 아이폰 18 프로 맥스가 기존보다 더 두껍고 무거워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스마트폰 기술 혁신의 중심축이 디자인 혁신에서 성능·내구성 경쟁으로 재편되는 흐름에 주목한다.
올해 5월 삼성전자는 두께 5.8밀리미터(mm), 무게 163그램(g) 수준의 초슬림폰 ‘갤럭시 S25 엣지’를 출시해 주목을 받았지만, 판매 실적이 예상을 크게 밑돌았다. 동반 성장하던 초슬림폰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내구성과 고사양 기능, 배터리 용량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드러나면서 삼성전자는 내년 플래그십 라인업에서 엣지 모델을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애플도 9월 아이폰 17 에어를 두께 5.6mm로 내세워 출시했지만, 같은 이유로 불과 두 달 만에 생산량을 대폭 감축하는 등 후속 모델 전략에 변화를 줬다. 외신과 시장 분석가들은 아이폰 에어 라인의 생산량이 내년 1분기까지 약 80% 이상 감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초슬림 스마트폰 판매가 저조한 가장 큰 이유는 얇은 디자인으로 인한 내구성 불안과 카메라·배터리 등 필수 구성요소의 성능 저하에 대한 소비자 불만 때문이다.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길어지면서, 사용자들은 단순한 외형 혁신보다 실제 사용 편의성과 고성능 기능을 더욱 요구하고 있다. 특히, 초슬림 설계에서는 고용량 배터리나 고해상도 카메라 모듈, 발열 제어 등 첨단 기능을 탑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 같은 ‘두께 경쟁’은 플래그십 폴더블폰 시장에서 비롯됐다. 폴더블폰은 접이식 구조로 인해 일반 스마트폰 대비 두껍고 무거워 사용자 경험상의 한계가 있었지만, 화웨이, 아너, 샤오미 등 중국 제조사들이 얇은 폴더블폰을 잇달아 선보이며 경쟁을 주도했다. 주요 부품과 설계가 상향 평준화된 후 디자인·휴대성이 차별화 포인트가 됐던 흐름이다.
하지만 1~2세대 만에 초슬림폰 수요가 급감하면서 제조사들은 다시 배터리 성능, AI 기능 등 현실적인 사용자 만족도 향상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IT 업계의 렌더링·정보에 따르면 갤럭시 S26 시리즈 두께는 6.9mm 수준으로 최신 엣지 모델(5.8mm)보다 두꺼워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또, 2025년형 갤럭시 울트라에는 최대 25와트(W)의 무선충전 기능이, 기본·플러스 모델에는 20W 무선충전이 도입될 전망이다.
애플 역시 2025년 하반기 출시가 예상되는 아이폰 18 프로 맥스가 배터리 용량·사용시간 극대화에 중점을 두면서, 무게가 240g을 넘고 두께 역시 9mm에 근접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배터리와 카메라 성능, 인공지능 도입이 소비자 선택의 기준이 됨에 따라 스마트폰이 이전보다 더 ‘두껍고 무거워지는’ 흐름이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이 이어진다.
국내외 스마트폰 제조사 모두 차세대 제품 전략에서 두께와 무게를 줄인 디자인 경쟁 대신 성능 강화·실효적 활용성 제고로 기조를 전환하고 있다. 산업계는 초슬림 경쟁의 일시적 퇴조가 성능과 내구성을 중시하는 시장 요구 변화에 대한 적응으로, 향후 AI·배터리·카메라 혁신이 스마트폰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