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수도권 빌라 전세 4곳 중 1곳, 대출 막혀”…HF '126% 룰' 확대에 혼란
경제

“수도권 빌라 전세 4곳 중 1곳, 대출 막혀”…HF '126% 룰' 확대에 혼란

정유나 기자
입력

수도권 빌라(연립·다세대) 전세시장의 약 27%가 전세대출 신규 취급이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8월부터 한국주택금융공사(HF)도 전세자금보증 한도를 ‘공시가격의 126% 이내’로 강화하면서, 임대차 시장 혼란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경기·인천지역에서 대출 제한이 집중될 가능성을 지적하며, 임대인과 임차인 부담 확대로 연결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집토스는 “2023년 하반기 체결된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세 계약 5만2,905건 중 1만4,465건(27.3%)이 HF의 보증 기준(공시가격 126%)을 초과했다”고 29일 발표했다. HF는 올해부터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이어 전세대출 보증 한도를 동일하게 적용해, 한도를 넘는 주택의 경우 보증 가입 및 대출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출처=집토스
출처=집토스

126% 룰은 공시가격의 140%에 LTV 90%를 곱해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를 초과하면 임차인은 전세보증금을 빌릴 수 없고, 임대인은 보증금 인하 등 조건을 새로 맞추지 않으면 새 임차인 확보가 어렵다. 지역별로 보면 대출 차단 비중은 경기(36.8%)와 인천(45.9%)에서 서울보다 훨씬 높았다. 경인 지역에서는 10채 중 4채가 원칙적으로 신규 대출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기존(2021~2022년) 체결 계약도 상당수가 현재 기준을 넘겨 재계약 시 문제가 되고 있다. 집토스는 분석 결과가 개인 임대인 및 무융자 조건만 반영한 산출이며, 실제 대출불가 비중은 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가구주택은 공시가격이 저평가된 만큼, 대출 규제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분석됐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보증금 인하 없이는 임대인들이 새 임차인을 구하기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기존 임차인의 보증금 반환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주택임대차 시장의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와 금융당국의 추가적인 보완책 논의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향후 전세대출 정책 흐름과 임차인 보호 방안이 수도권 임대차 시장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집토스#전세대출#한국주택금융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