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으로 HPV 진단”…국립암센터, 자궁경부암 선별 대안 제시
비침습적인 소변 기반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검사가 자궁경부암 조기 진단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국립암센터 연구팀이 최근 10년간 국내외 주요 논문을 종합 분석한 결과, 소변으로 HPV 감염을 진단하는 방식이 기존 자궁경부 세포 채취 검사의 한계를 상당 부분 보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 연구 결과를 두고 자궁경부암 예방과 선별 검사 시장에서 기존 검사 방식에 도전할 ‘새 판 짜기’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 박병민 진단검사의학과 파트장 등 연구진이 2014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15편의 학술 논문을 메타분석한 것이며, 자궁경부암의 핵심 원인인 HPV 감염 선별 방법의 진단 정확도를 집중 평가했다. HPV 16형과 18형 등 고위험군 HPV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의 약 70%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표준 검사는 자궁경부에서 직접 세포를 채취해야 해 다소 침습적이고, 특히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 접근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소변 기반 HPV 검사는 소변을 통해 바이러스 유전자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방식으로 검출한다. 이번 연구에서 소변 PCR HPV 검사의 민감도(실제 질병 환자를 찾아내는 비율)는 82%, 특이도(질병이 없는 사람을 판별하는 비율)는 91%로 확인됐다. 자궁경부 상피세포에서 직접 채취하는 방식에 비하면 약간 낮은 수치지만, 환자의 신체적·심리적 부담 감소와 선별검사 참여율 제고라는 측면에서 진단 효율성과 사회적 파급력이 클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분석이다.
특히 기존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참여율이 국가·지역과 개인별로 큰 격차를 보이는 가운데, 소변 검사는 의료기관 방문이 어려운 환경이나 신체 접촉에 거부감이 있는 수검자들에게 대안적 진단 도구로 작용할 잠재력이 크다. 유럽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도 최근 소변 기반 HPV 검사에 대한 연구와 도입 논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실효적인 여성 암 예방 검진 접근성 향상을 위한 글로벌 전략이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국내 의료계에서는 신의료기술평가, 보험 등이 뒷받침돼야 실제 현장 도입이 빨라질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현재 식약처 등 규제 당국은 HPV 관련 분자진단 기기의 임상적 효용성과 정확성 입증을 요구하고 있으며,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실제 제도화 논의와 임상 현장 적용 논리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한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소변 기반 HPV 검사의 상용화가 자궁경부암 조기 진단과 예방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며 “기술 표준화와 데이터 관리 등 제도적 지원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가 자궁경부암 진단 시장 구조 변화와 검진 기피층 해소에 실질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