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 추가 비용 1조2천억달러”…트럼프 관세 정책, 세계 무역 판도 변화 예고
현지시각 16일, 미국(USA)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 정책에 따라 올해 글로벌 기업들이 1조2천억달러(1천700조원) 상당의 추가 비용을 떠안을 전망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같은 조치는 세계 공급망 곳곳에 연쇄적 영향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소비자 가격에도 거센 압박을 가하고 있다. 미국의 관세 기조 전환이 국제 무역 흐름 속에서 새로운 변수로 부상하는 양상이다.
S&P 글로벌(S&P Global)이 16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9천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관세 및 무역장벽 강화로 인한 비용 부담이 올해 대폭 확대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China)·홍콩(Hong Kong)발 800달러 이하 소액 소포의 면세 혜택을 갑작스럽게 중단한 데 이어, 8월 말부터는 모든 국가발 소액 소포 면세까지 폐지하면서 글로벌 무역 시스템에 상당한 충격이 가해졌다. 여기에 10% 기본관세의 4월 적용과 각국간 상호관세, 자동차·철강·목재 등 주요 품목별 관세 일괄 확대가 순차적으로 이뤄졌다.

전문가들은 관세 강화가 실질적으로 글로벌 공급망을 압박하고, 세금·물류·운송비 상승 등 전방위적 부작용을 유발한다고 평가했다. S&P 글로벌 소속 대니얼 샌드버그 애널리스트는 “관세 및 무역장벽은 곧장 기업 부담 증가로 이어질 뿐 아니라, 해운부터 실적 데이터까지 연쇄적 충격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기업이 늘어난 비용의 3분의 1 정도만 자체 흡수하고, 나머지는 상당수 소비자 가격에 이전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같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대해 백악관(Washington D.C.)의 쿠시 데사이 부대변인은 “관세 정책 도입 후 미국 내에 일시적 과도기가 예상되지만, 최종 부담은 외국 수출기업들이 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국제 물류 혼잡과 비용 전가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이번 미국의 관세 강화가 “국제 공급망 구조의 재편을 앞당기는 결정적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BBC 등 주요 외신도 “기업의 가격 설정 전략과 소비자물가, 국제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계기”로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미국의 관세 강화 정책이 세계 무역과 공급망, 소비자·기업의 부담에 동시다발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본다. 주요국 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은 관련 정책의 세부 방향과 대응 방안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제 관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